|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정부가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 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기업들이 당면한 인력난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정부에서 양성한 인력들이 기업에서 필요한 방어 인재 보다는 ‘화이트햇·취약점 분석’ 등 공격 기술 쪽으로 쏠려있어 실제 수요와의 ‘괴리’가 커서다. 화이트햇은 실제 해킹 공격이 들어오기 전 모의해킹 등을 통해 취약점을 선제적으로 탐지하고, 조치하도록 하는 방법론이다.
사이버보안 10만인재 양성 프로그램은 이번 정부의 핵심 과제 중 하나다. 오는 2026년까지 신규 인력 4만명을 양성하고, 재직자 6만명에 대한 역량 강화를 추진해 총 10만명 규모의 정보보호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목적이다.
현재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사이버보안 실무 인력 양성(K-쉴드 주니어) △지역정보보호센터 교육 △실전형 사이버훈련장 △최정예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K-쉴드) △전자정부 정보보호 전문교육 등이 운영되고 있다.
보안업계의 고질적 문제점이었던 ‘인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지만, 업계 반응은 다소 ‘떨떠름’하다.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방어 기술 전문 인재 수요를 여전히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통계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2023 정보보호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정보보안 기업 737곳 중 현재 애로사항으로 ‘기술 개발인력 확보 및 유지’를 꼽은 곳은 71.8%에 달한다. 시장 확대 측면에서 정부가 지원해줘야할 사항으로는 자금지원 및 세제 혜택(80.6%), 기술개발 지원(56.8%)에 이어 전문인력 양성(54.8%)이 세 번째로 집계됐다. 결국 보안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보안 솔루션 개발자나 보안관제 전문가 부족현상은 여전하다는 의미다.
국내 보안업계 관계자는 “기업에서 필요한 인재는 방어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거나, 보안 관제처럼 지원하는 인력이 대부분”이라며 “정부 교육을 수료한 인재들을 채용하면 실제 업무에 필요한 능력이나 지식은 없는 경우가 많아 2년여 동안 새로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문종현 지니언스시큐리티센터(GSC)센터장 또한 “우리나라는 워낙 공격을 많이 받는 입장이다 보니 방어 기술을 익힌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크다”며 “이 같은 인력들을 현장에서 구하기도 어렵고, 정부 교육을 수료한 인력들 또한 화이트햇이나 취약점 분석 쪽에 치우쳐져 있다는 지적도 많다”고 했다.
단순히 인력을 늘리는 사업은 의미가 없다는 분석도 있다. 기존 인력의 이탈세가 가파른 보안업계에 신규 인력을 양성해 투입해 봤자 큰 효과를 얻기 힘들다는 것이다. 보안 산업 전체가 성장해 복지나 연봉 등 처우 개선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이 확보돼야 한다는 얘기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이버보안펀드처럼 산업 전반에 자금이 투입될 수 있는 부분이 활성화 돼야 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지금처럼 정부에서 직접 인력을 양성하는 방식보다는 산업계에 관련 예산을 분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업 수요에 대한 정밀 예측 작업도 핵심 방안 중 하나로 꼽힌다. 염흥열 순천향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기업이 원하는 능력의 수준과 여러 직무 부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해야 한다”며 “공급과 인력 수요가 매칭되도록 하는 정교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