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내 인구 정점 찍고 꺾였다…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

이명철 기자I 2022.03.24 12:00:00

[2021 한국 사회지표] 작년 총인구 감소 전환
합계출산율 5년째 최저치 경신…부양 부담 커져
수도권 쏠림 현상 심화…1·2인가구 비중 증가세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합계출산율(여성 한명이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수)의 최저 기록 경신 등 저출산 가속화로 작년 국내 총인구가 감소 전환했다. 65세 이상 고령자는 전체 인구의 17%에 달하면서 고령화 속도도 빨라지는 추세다. 지난해 수도권에 살고 있는 인구는 전체 절반을 넘으며 수도권 집중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기저귀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1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20년 518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5175만명으로 감소 전환했다.

작년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전년대비 0.03명 감소하면서 2017년 이후 5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정부의 인구 대책 추진 노력에도 저출산 기조는 더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사망자수는 31만700명으로 전년보다 1만2800명 늘었다. 인구 1000명당 사망자수인 조사망률은 6.2명으로 1984년(5.9명)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0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전년보다 0.2년 늘었다. 10년전인 2010년(80.2년)과 비교하면 3.3년 길어졌다. 기대수명은 66.3년으로 2년 전보다 1.9년 늘었다. 지난해 사망률은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순으로 높았다.

작년 65세 이상 인구는 857만명으로 전년보다 약 42만명 증가했다. 전체 인구 비중은 16.6%다. 통계청은 2025년 고령인구 비중(20.6%)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지=통계청)


인구구조 변화로 부양 부담은 커지고 있다. 생산연령인구대비 고령인구 비중인 노년부양비는 지난해 23.1명에서 2025년 29.7명, 2040년에는 60.5명으로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저출산이 지속되면서 학생수는 감소하고 있다. 재정당국이 세수에 비례해 지급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개편 필요성을 언급한 이유기도 하다.

지난해 교원 1인당 학생수는 초등학교가 14.0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전년대비 0.2명 감소했다. 2000년(28.7명)과 비교하면 절반도 못 미친다. 유치원은 10.9명, 고등학교 9.9명으로 1년새 각각 0.5명, 0.2명 줄었다. 중학교는 11.9명으로 0.1명 늘었다.

2020년 평균 가구원 수는 2.34명으로 전년대비 0.05명 감소했다. 1인가구와 2인가구의 비중은 31.7%, 28.0%로 같은기간 각각 1.5%포인트, 0.2%포인트 증가했다. 가구 구성이 1·2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2020년 가구 구성 형태는 부부와 미혼자녀(43.9%), 부부(25.4%), 한부모와 미혼자녀(14.7%) 순으로 많았다. 2000년 들어 부부·미혼자료 구성은 대체로 감소세고 부부로만 구성된 가구는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들도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가구 구성은 다양해지고 있지만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더 강해지고 있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2605만4000명으로 전체 인구 비중이 50.3%에 달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30년 51.0%로 점차 수도권 쏠림이 심화할 것으로 통계청은 예상했다. 다만 서울의 경우 인구 비중이 지난해 18.4%로 2010년(20.4%)보다 줄었다. 2030년에는 17.6%로 더 낮아질 전망이다.

향후 인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지역은 특·광역시의 경우 인천·세종, 시·도 지역은 경기·강원·충북·충남·제주 지역을 예상했다.

(이미지=통계청)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