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절을 하루 앞둔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구 일본대사관 앞에는 유관순 열사의 이름이 터져 나왔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등 시민단체 70여 개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28일 개최했다. 시민단체들은 “진정한 해방과 참 평화를 누리고 싶다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세상을 떠나고 있다”며 “일본정부는 하루빨리 불법적 식민 지배와 전쟁범죄를 명확하게 인정하고 전범국으로서 법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시민단체들은 일본정부에 △강제 징용에 대한 법적 책임 △공식 사죄 △법적 배상 △재일교포 차별철회 등을 재차 요구했다.
시민단체들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남과 북, 해외의 여성들은 위안부를 비롯한 일본의 전쟁 범죄를 전 세계에 알리기로 했다”며 “일본정부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 등 완전한 해결을 위한 연대활동을 더욱 강화할 것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은 또 일본정부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협조도 촉구했다. 이들은 △연합군 정부의 위안부 자료 공개 △위안부 진상 조사 △피해자 중심주의에 입각한 위안부 문제 해결 등을 요구했다.
서 베네딕토 장상협의회 사무국장은 “유엔 인권 기구가 거듭 확인한 중대한 반인륜적인 범죄인 위안부 문제 해결과 지금도 벌어지고 있는 유사한 형태의 전시 성폭력 범죄의 재발 방지를 위해 국제 사회가 진상을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본 정부가 유엔 인권기구의 권고에 따라 피해자 중심 원칙에 맞아떨어지는 영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이행하도록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015년 12월 28일 한·일 외교부 장관은 정부 간 합의로 ‘2015 위안부 합의’를 발표했다. 합의문에는 △일본 정부의 책임 통감 △일본정부 재단 설립 비용(10억엔) 지원 △상호 비난 자제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 △화해 치유 재단 설립 등이 담겨 있다.
이에 대해 유엔 인권기구는 2015위안부 합의 발표 이후 피해자들의 요구에 맞는 영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라고 한·일 양국 정부에 권고했다. 정부 또한 지난해 11월 2015 위안부 합의에 명시한 화해·치유 재단 설립을 백지화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