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방치된 폐기물 매립장 탓에 혈세 340억 원 낭비 발생"[2023국감]

이연호 기자I 2023.10.18 15:07:41

국회 환노위 박대수 의원실, 환경부서 받은 자료 공개
"허가 시 사업성 검토...사후관리이행보증금 현실화해야"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최근 10년 간 폐업 등의 이유로 방치된 폐기물 매립장으로 인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할 혈세가 약 340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매립장 운영 허가 시부터 사업성을 검토하고 사후관리이행보증금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표=박대수 의원실.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대수 국민의힘 의원실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사고 및 폐업 등의 이유로 방치된 폐기물 매립장의 사후 관리를 위해 국가 및 지자체가 부담해야 할 돈은 340억7000만 원이다.

폐기물 처리 시설을 설치·운영하기 위해서는 ‘폐기물관리법’ 제52조에 따라 사후 관리 등에 드는 비용인 사후관리이행보증금을 환경개선특별회계에 사전 적립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10년 간 발생한 방치 폐기물 매립장 5곳의 의무 사후관리이행보증금은 143억3000만 원인 것에 비해 실적립액은 그 50.5% 수준인 72억3000만 원에 그쳤다. 더 큰 문제는 방치된 5곳 폐기물 매립장의 폐쇄 공사 및 침출수 처리에 대한 산정액은 사후관리이행보증금 실적립액의 5.7배, 의무 적립액의 2.9배 가량인 413억 원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정부가 매립장 운영 허가 과정에서 사업성 검토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매립장 운영도 사업의 일종으로 사업성이 뒷받침돼야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지만, 현재는 매립장 운영 허가 과정에서 사업성 검토 단계는 없다.

이와 관련 전국의 민간 폐기물 매립 시설 54개의 평균 용적 규모는 102.8만㎥인 반면, 방치 폐기물매립장 5곳의 평균 용적은 30.8만㎥로 전국 평균의 1/3에 수준에 불과했다. 실제 매립 용적 규모가 작다 보면 운용 가능한 폐기물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업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다만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7은 폐기물 매립업자가 갖춰야 할 최소 매립 용적을 생활 폐기물 1만㎥, 지정 폐기물 3만㎥로 규정하고 있다.

박대수 의원은 “매립장 운영도 결국은 이윤을 위한 사업 행위인데, 사업성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계속 방치 폐기물 매립장이 생길 수밖에 없다”며 “조속히 매립 사업자가 갖춰야 할 최소 매립 용적을 확대하고, 사후관리이행보증금을 현실화해 국민 혈세가 낭비되지 않게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폐기물 업종별 방치 폐기물 처리 이행 보증 주체를 살펴보면 폐기물 소각·처리·재활용 업종 등은 민간에 권한을 이양한 반면 폐기물 매립업만 정부가 권한을 갖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