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연물이란 동물·식물·미생물 등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기원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천연물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화장품 뿐 아니라 비료, 농약, 천연색소·향료 등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하다.
판 센터장은 국내 천연물 산업의 높은 해외의존도 극복을 위해 신규 천연물 재배지역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판 센터장은 “지난 2016년 기준 국내 천연물 전체 기업 중 54.4%가 해외 생물자원을 이용하고 있다”며 “나고야의정서 이행에 따른 경제적 부담 규모는 최대 연 5000억 원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판 센터장은 북한 천연물 기반 고부가가치 천연물제품 개발을 위해 연구에서 생산까지 원스톱(One-stop) 단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5년 내 천연물 연구·개발 기업 10개 입주 및 천연물 소재 30개를 발굴하자는 목표를 제안했다.
중점 과제로는 천연물 공동 연구센터 설립, 첨단 천연물 재배시설 구축·확산, 천연물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원료·제품 생산시설 구축·운영을 제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축사에서 설치하겠다고 밝힌 ‘접경지역 경제특구’를 활용해 조기 추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비무장지대(DMZ) 생물 다양성을 활용할 수 있고 생태와 관광을 접목한 천연물 산업 단지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속한 착수를 위해 기존 유휴 건물 리모델링 방안을 검토하자고 덧붙였다.
이어 진행된 패널토론에서는 당장 실현 가능성 있는 공동 연구 협력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세영 경희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는 “북쪽에서만 갖고 있는 천연물로 산업화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자원 공동 연구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선 특허 상호 인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계 패널로 참여한 손미원 바이로메드 전무는 “북한은 천연물 임상 사용례가 많고 북한의 천연물 소재가 동남아나 해외 소재보다 훨씬 높은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역시 이에 대한 특허 부분이 해결돼야 할 것”이라며 “장기적인 계획으로 하나하나 협력을 잘 구축해 나갈 때 궁극적으로 산업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