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업은 국토부가 지난해 발표한 ‘민간 무인항공기 실용화기술 개발’ 사업에서 무인기 직접제작을 완전히 제외하고 안전성 인증기술과 운영관리 기술 개발, 개발기술 국제표준화 구축 등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이로써 민간무인기 시제기 제작을 통해 설계와 제작·인증·시험 분야의 원천기술을 개발하겠다는 정부계획은 무산됐다. 사업 주무부처인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는 민간 업체를 밀어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사업규모도 당초 총 1995억원에서 이번에 37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정부의 민수용 무인항공기 개발계획은 2012년 사업추진 때부터 논란이 있었다. 실제 이 사업은 미래부의 기술성 평가에서 지난 2012년 하반기와 2013년 상반기·하반기 등 3차례 연속 부적합 평가를 받았다.
이런 가운데 최근 대한항공(003490)과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 등 민간기업이 새로운 먹거리 사업으로 민수용 무인기 개발에 박차를 가해 기술력에서 우위에 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무인기 제작기술은 이미 민간에서 성숙화됐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의 기술력 부족문제는 민군 기술협력 부재가 원인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국토부와 미래부 등은 국방부 측에 무인기 제작기술 제공 등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원할히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 국내 무인기 시장의 90%는 군수용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민수용 무인기를) 관에서 직접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부의 정책적 판단 실수 때문에 지금에 와서 산업육성을 다시 시작하게 됐다는 비판은 불가피해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한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정부가 이 분야에 경험이 없다보니 이렇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
▶ 관련기사 ◀
☞대한항공 "기내 폭력 월평균 2.6건..강력 대응할 것"
☞대한항공, SNS서 홍보물 공모전 진행..1등은 국내선 항공권
☞실적에 발목잡힌 대한항공, 다시 날아오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