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조합 조직률과 조합원 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2001년만해도 156만9000명이었던 조합원 수는 △2015년 193만8000명 △2017년 208만800명 △2018년 233만1000명 △2019년 253만1000명으로 늘었다. 노동조합 조직 현황을 보면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노조 조직률이 높았다. 300명 이상 사업장이 54.8%를 차지했다. 이어 100~299명 8.9%, 30~99명 1.7%, 30명 미만 0.1% 순이었다. 지역·산업·직종 등 조직단위의 단위노조인 초기업 노조도 147만3000명(58.7%)으로 지난해(134만9000여명)보다 늘면서 증가추세를 유지했다.
상급단체로만 보면 정부 집계 최초로 양대 노총 모두 조합원수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상급단체로 보면 민주노총이 104만5000명으로 전체의 41.3%를 차지했다. 민주노총은 한국노총(101만8000명, 40.2%) 조합원 수를 지난해 집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넘어서면서 제 1노총의 자리를 유지했다. 이어 상급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노동조합(미가맹)이 38만6000명(15.3%), 공공노총이 4만8000명(1.9%), 전국노총 1만5000명(0.6%) 순이었다.
100만 조합원을 넘긴 양대 노총과 함께 지난해 노조 조합원수가 늘어난 이유로는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핵심으로 꼽힌다. 실제로 민간부문 노조 조직률은 10%에 불과했지만 △공공부문 70.5% △공무원 86.2% △교원 3.1% 등 공무원·공공부문 조직률이 월등히 높았다.
한편 민주노총이 제 1노총을 유지하면서 노정관계는 여전히 전망이 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민주노총 차기 위원장으로 강경파로 꼽히는 양경수 민주노총 경기지역본부장이 선출됐기 때문이다. 양 위원장은 현재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할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민주노총은 정부 여당이 단체협약 유효기간 연장 등 경영계의 요구를 일부 반영한 노조법 개정을 밀어붙인 데 반발해 대정부 투쟁 수위를 높인 상태라 노정관계 개선은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