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노총 조합원 200만명 넘었다…민주노총 제1노총 유지

최정훈 기자I 2020.12.29 12:00:00

고용부, 2019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
민주노총 104.5만명·한국노총 101.8만명
공공부문 정규직화 여파로 조합원 늘어

[이데일리 최정훈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조합원 수가 정부의 공식 집계 최초로 각각 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은 2년 연속으로 한국노총 조합원 수를 앞질러 제1노총 자리를 유지했다. 지난해까지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속도를 내면서 양대 노총의 조합원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역 부근 도로에서 중대재해법 입법과 비정규직 해고 금지, 김진숙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의 복직 등을 요구하는 차량시위가 경찰에 가로막혀 있다.(사진=연합뉴스)
2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9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에 따르면 전체 노동조합 조합원 수는 노조 조직대상 노동자 2031만4000명 중 253만1000명으로 지난해(233만1000명)에 비해 20만명이 증가했다. 노조 조직대상 노동자는 임금 노동자 수에서 노조 가입이 금지된 공무원(5급 이상, 군인·경찰 등)과 교원(교장, 교감 등)을 제외한 노동자를 뜻한다. 이에 따라 전체 노조 조직대상 노동자 중 조합원을 뜻하는 노조 조직률은 12.5%로 지난해보다 0.7%포인트 높아졌다.

노동조합 조직률과 조합원 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2001년만해도 156만9000명이었던 조합원 수는 △2015년 193만8000명 △2017년 208만800명 △2018년 233만1000명 △2019년 253만1000명으로 늘었다. 노동조합 조직 현황을 보면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노조 조직률이 높았다. 300명 이상 사업장이 54.8%를 차지했다. 이어 100~299명 8.9%, 30~99명 1.7%, 30명 미만 0.1% 순이었다. 지역·산업·직종 등 조직단위의 단위노조인 초기업 노조도 147만3000명(58.7%)으로 지난해(134만9000여명)보다 늘면서 증가추세를 유지했다.

상급단체로만 보면 정부 집계 최초로 양대 노총 모두 조합원수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상급단체로 보면 민주노총이 104만5000명으로 전체의 41.3%를 차지했다. 민주노총은 한국노총(101만8000명, 40.2%) 조합원 수를 지난해 집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넘어서면서 제 1노총의 자리를 유지했다. 이어 상급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노동조합(미가맹)이 38만6000명(15.3%), 공공노총이 4만8000명(1.9%), 전국노총 1만5000명(0.6%) 순이었다.

100만 조합원을 넘긴 양대 노총과 함께 지난해 노조 조합원수가 늘어난 이유로는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핵심으로 꼽힌다. 실제로 민간부문 노조 조직률은 10%에 불과했지만 △공공부문 70.5% △공무원 86.2% △교원 3.1% 등 공무원·공공부문 조직률이 월등히 높았다.

한편 민주노총이 제 1노총을 유지하면서 노정관계는 여전히 전망이 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민주노총 차기 위원장으로 강경파로 꼽히는 양경수 민주노총 경기지역본부장이 선출됐기 때문이다. 양 위원장은 현재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할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민주노총은 정부 여당이 단체협약 유효기간 연장 등 경영계의 요구를 일부 반영한 노조법 개정을 밀어붙인 데 반발해 대정부 투쟁 수위를 높인 상태라 노정관계 개선은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2019년 노동조합 조직 현황(자료=고용노동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