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철 동원그룹 명예회장은 16일 KAIST를 찾아 인공지능 인재 양성과 관련 연구에 써달라며 500억원을 기부했다. KAIST는 김 명예회장의 뜻에 따라 기부금 전액을 AI 분야 인재 양성과 연구에 사용할 방침이다.
김 명예회장은 이날 약정식에서 “AI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특허신청에서 속도 경쟁을 하는 등 AI 발전에 속도를 내지만 한국은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다”며 “지난 반세기 동안 발전을 이뤄낸 국민 저력을 감안하면 조속히 AI 발전에 나서 한국도 AI 혁명을 선도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KAIST가 선두주자로서 KAIST가 선두주자로서 우리나라 AI 개발 속도를 촉진하는 플래그십 역할을 해줘야 한다”며 “세계적으로 저명한 AI 교수를 모셔오고, 학생 수를 늘려 AI 개발의 세계적 메카로 발전하고, 국내 산업협동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빈손으로 사업 시작해서 큰 그룹 일궜다. 평생 1000억원을 넘는 기부를 했는데 기업인으로서 기부 소회는. 또 한국의 기부문화와 제도에 대한 견해가 있다면.
△젊은 시절 해외를 다녔다. 당시 한국은 국민 소득 100불이 안돼 가난하고 알려지지 않은 나라였다. 다니면서 괄시도 많이 받았다. 한국이 왜 가난해서 제대로 대우받지 못하는지와 조국을 많이 생각했다. 한국이 잘 살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고, 국토가 좁고 자원이 없지만 우수한 인재를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회사는 1969년에 시작했는데 10년 후인 1979년부터 육영재단 만들어서 학생들을 지원했다. 역량이 되는 한 기부도 해왔다. 사재라도 뜻있는데 쓰고 싶었다. AI 발전에 불씨가 되면 좋겠다. 한국 기부문화는 양면이 있다. 순수한 기부보다 악용한 사례도 있었다. 다만 제도적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다. 이번에는 회사와 관계없이 사재라 제약이 없지만, 정부가 법제도를 보다 융통적으로 관리하면 기부금도 많아질 것이다.
-기부금을 특히 AI에 쓰게 된 배경과 의미가 있다면.
△외국 서적을 탐독하며 내린 결론은 AI가 단독 학문이 아니라 융합학문이라는 것이다. 우수한 연구진, 산업계와의 협력이 중요하다. 가능한 많은 분야와 융합해야 한다. KAIST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수한 교수, 열정적인 학생, 유연성을 갖췄다. KAIST가 가장 친화적이라고 봤다.
-AI 서적을 탐독하고 임직원에게 권하는 등 AI 육성 의지가 남달랐는데 서적 명칭은. 기부금 형태는 어떻게 되는가.
△외국서적을 주로 읽었다. 부분적으로 번역해서 직원들에게 읽게 했다. 로봇 공정 자동화 부분 등이 포함됐다. AI는 단순히 공학이 아니라 인문·사회 등과도 관계가 있다. 한 분야 전문가보다 다른 전문가들과 의논해서 시너지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기부금은 현금으로 전달할 생각이다.
-KAIST AI 대학원이 서울로 간다고 했는데 회장 뜻인가.
△한국의 KAIST가 아니라 세계적인 KAIST 되기 위하려면 넓게 거점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I가 융합학문이니 AI대학원도 그 자체로만 별도로 존속하기엔 어렵다. KAIST가 거점을 하나 마련했다고 보면 좋을 것 같다. 혁신은 연구와 현장 간 교류에서 만들어져 서울에 거점을 마련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