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석 기재부 1차관, 28일 물가관계차관회의 주재
"화재지역 인근 농축산업 피해 최소화해야"
"지역 농산물 수급 상황 점검, 적기 대응"
라면 등 가공식품값 줄인상…"먹거리 물가대응 계속"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이 28일 경북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해서 “주민 안전과 더불어 인근 지역의 농축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지역 농산물 수급 상황도 면밀히 점검해 적기 대응해달라”고 말했다.
 |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사진=기획재정부) |
|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를 주재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품목별 가격동향 및 대응계획,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추진상황 등이 논의됐다.
김 차관은 “최근 경북 의성 등에서 발생한 산불과 관련, 관계부처와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해 주민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화재 발생 인근 지역의 농축산업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차관은 “지역 농산물 수급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해 적기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북 일대의 산불로 인해 마늘, 사과 등 지역 농가들도 큰 피해를 입어 향후 관련 농산물의 가격이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무나 배추 등 채소류, 외식 물가 부담도 언급했다. 김 차관은 “최근 석유류와 농산물 가격 오름세는 둔화되고 있으나 무나 배추 등 일부 채소류, 식품과 외식 등 체감물가 부담이 여전하다”며 “범부처 공동으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식품업계에서는 원재료 가격 부담에 따라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오는 4월부터는 매일유업이 유제품 등 51개 가격을 평균 8.9% 인상하고, 농심과 오뚜기 등도 라면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
정부는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해 식품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 구매자금 지원, 커피와 코코아에 대한 수입 부가세 면제 등 물가 안정을 위한 각종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또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가격 인상 시기를 이연·분산하거나, 인상률과 인상 제품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업계와 지속 협의해나갈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농수산물 유통 경로 다양화와 경쟁 촉진, 유통단계별 비용 절감 등을 위해 이어왔던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의 추진상황을 점검해 내주 그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