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수석연구위원은 “이로써 정책당국은 기존의 각종 시장 안정화 조치에 더해 비은행권 유동성 경색 상황까지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셈이고, 이는 적어도 표현적, 단기적으론 투자 심리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 조치는 장기적으론 잠재적인 부담 요인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 수석연구위원은 “정책당국이 공식적으로 은행, 비은행간의 장벽을 허물어버림으로 인해 관련 금융사들간의 정체성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정책당국이 비은행에 암묵적인 신용보강을 제공하는 것은 그 명분에 대한 적절성은 논외라 하더라도 자칫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은행이 아닌 금융사에 대해 은행 대우를 해주겠다는 것이고 이는 향후 예금 및 대출시장에 의도치 않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비은행은 보강된 신인도로 인해 낮은 이자로도 예금을 유치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는 은행권 및 비은행 예금자들로서도 그리 달갑지 않은 상화이라고 평가했다. 또 비은행은 낮은 금리로 조달함에 따른 요구수익률 하락으로 인해 이전 대비 위험 투자를 안해도 되는, 운신의 폭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수석 연구위원은 “그간 비은행들은 은행 대비 불리한 조달 환경에 맞춰 상대적 투자 위험도가 높은 하이일드 채권, 중후순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시장 등에서 큰 손 역할을 해왔지만 이번 제도 개편으로 인해 더 이상 리스크 테이킹할 유인이 없어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도는 좋았지만 결과는 전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귀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수석 연구위원은 “예금-대출시장에는 오랜 세월 누적된 먹이사슬 생태계가 존재하고 있다”며 “시스템 내 비은행의 비중이 커졌다고 지원해줘야 한다는 것은 대마불사 논리와 다르지 않다. 이번 조치로 인해 정책당국은 우발적 생태계 파괴자가 될 수 있는 위험성에 노출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