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화물연대 파업 엿새 만에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가운데, 시멘트 운송 거부자를 첫 번째 타깃으로 결정한 데는 이번 파업에 따른 피해가 가장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건설업계에서는 이번 주부터 파업 영향이 본격적으로 가시화하면서 모든 현장이 중단되면 하루 약 6000억원의 건설기성 감소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기성이란 건설업체의 국내공사 현장별 시공 실적을 금액으로 조사해 집계한 통계로 조사대상 기간인 한 달 동안 시공한 공사 실적을 의미한다.
29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24개사 941개 사업장을 조사한 결과 현재 화물연대 파업으로 레미콘 공급이 중단된 곳은 530곳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집계가 되지 않은 현장까지 고려하면 실제 피해 규모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보인다.
|
국내 최대 건축 현장인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아파트도 레미콘 타설을 중단한 상태다. 현재 타설 외 다른 공정을 진행 중이지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공사 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이날 국민의힘과 정부는 ‘화물연대 집단운송 거부에 따른 건설현장 위기상황 점검 긴급간담회’를 개최했다. 건설업계에서는 △화물연대와 적극적 교섭 △화물연대 불법행위에 대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처 △불법파업에 따른 공사기간 연장 시 공기연장 가능토록 국가계약법령 개정 등을 요구했다.
협회 관계자는 “현재 노조 파업은 국가계약법령상 자연재해 등 어쩔 수 없는 공기 연장 사유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서 “공기가 늦어지면 발주처에는 지체상금, 또 입주자에게는 입주 지연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자칫 건설업자가 모든 것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