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30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정책 방향을 개체 복원에서 서식지 보전 중심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골자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 2018~2027’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종합계획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의 하위계획으로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대책 이행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10년 단위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멸종위기종 개체의 증식과 보충 위주로 복원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종들이 사는 서식지를 먼저 평가·분석하고 개선하는 등 멸종위기종 복원의 근원적 측면을 고려하려 했다”고 이번 계획 취지를 설명했다.
우선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안전한 서식처, 생명의 한반도’를 비전으로 두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와 조화롭게 연결·복원하겠다는 전제로 2027년까지 25종 복원을 이번 계획 목표로 삼았다.
환경부는 이를 위해 종 복원에 앞서 서식지를 사전 평가하고 적합한 서식여건으로 되돌리기 위한 조사·연구와 개선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멸종위기종 총 267종 중 복원 중인 반달가습곰을 비롯한 64종을 ‘복원대상종’으로 선정하고 이 중 ‘우선 복원대상종’으로 25종을 선정해 조사·연구·복원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산줄기와 하천, 습지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을 위한 작업에 총력을 기울인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국의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사전평가해 서식환경을 개선할 것”이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와도 연계해 종별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 서식지 변동가능성에 따른 신규 서식지를 발굴·보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서식환경 조사를 통해 종별 위험요인을 분석한 후 외래종과 오염물질, 인간간섭, 올무 등을 제거하고 밀렵 감시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31일 경북 영양에서 개원하는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를 인력 양성기관으로 지정해 현장 경험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종 보전을 위한 인적 토대도 다질 방침이다.
종복원센터의 개원에 따라 국립생물자원관이 수행하던 멸종위기종정보(DB) 관리 등 산하기관들이 분산해 수행하던 기능도 종복원센터로 이관·통합한다.
정종선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반달가슴곰 복원을 시작으로 환경부가 종 보전 정책을 추진한지 15년이 지나고 있다”며 “환경부는 이번 종합계획에 종 보전 정책을 서식지 보전 중심을 전환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담아내려 노력했고 앞으로 10년 간 서식지 개선과 종 복원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잘 이행해서 한반도의 많은 생물들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나고 백두대간 생태축을 따라 안전히 남북을 오가며 공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