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그동안 국내 채용시장 규모가 작은 탓에 대학이나 기관의 적극적인 인재 양성이 어려웠고 해외 인력 유출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번 채용은 민간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우주산업 인재 육성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화는 이번 채용을 시작으로 과감한 국내외 인재 영입에 나설 계획이다.
|
31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우주사업 10여개 분야에서 신입·경력 등 총 세자릿수의 ‘스페이스 허브 크루’ 인원을 모집한다. 신입은 다음 달 18일까지 모집하며 경력은 기한 없이 상시 채용한다. 한화에서 우주 관련 세자릿수 대규모 채용을 진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스페이스 허브는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으로 구성된 한화그룹의 우주사업 협의체로 2021년 3월 출범했다. 출범 당시 김 부회장이 직접 팀장을 맡을 만큼 운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면서 그룹의 핵심 사업으로 키우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번 대규모 채용으로 김 부회장의 우주 진출 밑그림이 구체화하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
하지만 미국과 달리 국내 우주 분야 종사 인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 우주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우주 분야 인력은 총 9797명에 불과하다. 미국이 17만명인 것을 고려하면 규모가 매우 작다. 업계에서는 인공위성이나 로켓 개발에 최소 3~10년가량의 오랜 투자가 필요한 만큼 기업 입장에서 대규모 인력 채용을 진행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그동안 우주인재들이 취업할 수 있는 곳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일부 기업으로 제한됐다. 항공우주공학을 전공한 뒤 연봉이 높은 인공지능(AI) 기업으로 진로를 바꿔 떠나거나 미국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 등 해외 기관으로 떠나는 사례도 있었다.
|
업계에서는 이번 대규모 인력 채용을 계기로 외국 대학 혹은 기관으로 떠나거나 국내 다른 분야 기업으로 갔던 인재들이 연착륙해 국내 우주 산업 생태계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화 관계자는 “국적과 연령 등을 고려하지 않고 우수 인재를 채용해 빠르게 변화하는 우주산업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런 차원에서 정부 부처도 한화의 적극적인 행보가 우주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봤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그동안 우주연구기관 정원이 부족해 고급 인재들이 해외로 떠날 수밖에 없었다”며 “부처 차원에서도 미래우주교육센터를 구축하고 우주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하는 등 대학과 기업에서 선순환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한화의 이번 인재 유치 노력이 주로 로켓 개발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로켓·위성·우주 탐사 전반으로 채용 기회가 확대하기를 기대했다. 조남석 무인탐사연구소 대표는 “우주탐사 분야에서 로켓, 위성뿐만 아니라 우주탐사 전반으로도 인재 양성 기회가 늘었으면 한다”며 “한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과 협력해 우주탐사 분야를 개척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에서 민간으로 우주경제 전환이 빨라지면서 산·학·연·관이 힘을 합쳐 장기적, 물리적 투자를 해나가며 인재를 키워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정률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과장은 “과거와 달리 산업계와 군 당국과 정부 등에서 우주 인재 수요가 빠르게 늘었지만, 당장 인력을 더 배출하는 데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며 “영재부터 대학원생, 기업, 연구기관까지 선순환하는 우주인재를 키우기 위해 교육센터 공간을 신설하는 등 물리적인 투자와 장기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