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황건일 금통위원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유의해야"

장영은 기자I 2025.03.27 11:00:00

황건일 위원, 3월 금융안정상황 점검 주관
"국내 금융시스템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 유지"
취약부문 부실·가계부채 확대 가능성에 경계감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황건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은 27일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이 대체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시장 변동성과 취약 부문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건일 신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이 지난 5월 13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취임사를 밝히고 있다.(사진=한국은행 제공)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금융안정 상황’을 주관한 황건일 위원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양호한 금융기관의 복원력과 대외지급능력을 기반으로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높은 불확실성 하에서 낮은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충격 발생시 금융·외환시장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금융여건 완화에 따라 차주의 원리금 상환 부담은 점차 줄어들겠지만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등 취약 부문의 부실이 늘어나면서 일부 지방·비은행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이후 서울 일부 지역의 집값 급등세에 대해서도 경계심을 보였다. 집값 급등세가 다른 지역으로 퍼지면서 가계부채 확대세로 이어질 경우 금리인하기에 있는 한은의 통화정책을 제약할 수 있어서다.

황 위원은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의 빠른 주택가격 상승세가 여타지역으로 확산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며 “부동산시장 및 가계부채 상황이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통화정책 운용을 제약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관리를 위한 긴밀한 정책공조가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 “불확실성이 높은 여건 하에서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취약부문의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긴요하다”면서 “금리 인하 기조에서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을 위한 금융여건 완화가 취약부문에 대한 구조개혁을 지연 또는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짚었다.

한편, 황 위원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0%에 근접하며 하향 안정화되고 있는 점이나, 그간 꾸준히 상승해온 부동산금융 익스포저 비율이 지난해 말 하락 전환한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