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단장에 따르면 현재 TF 지원을 받고 있는 유가족은 전체 158명 희생자 가운데 38명의 유족 60여명이다. 윤 단장은 “10.29 참사는 국가의 위기관리 시스템이 총체적으로 작동하지 않아서 벌어진 일”이라며 “참사 발생 후 24일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사과나 참사의 원인 규명, 어떤 재발방지책 의논도 없이 유가족은 소외되었고 정치적 발언들만 난무했다”고 먼저 지적했다.
윤 단장은 전날 있었던 기자회견에서 ‘유족들이 모일 수 있는 기회를 정부가 차단했다’는 취지의 비판이 나온데 대해서는 희생자들 장례부터 발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유는 모르겠는데 희생자 분들이 44군데 병원에 흩어져 있었다”며 “결과적으로 유족들이 장례 치르면서 만날 기회가 봉쇄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원래 지침에 따르면 합동장례로 할지 개별장례로 할지를 유족들에게 묻게 돼 있다. 그런데 그런 문의도 전혀 없이 언제 장례 치를 거냐, 언제 지방에 데려갈 거냐 이런 공무원의 재촉 속에서 개별장례로 그냥 마무리가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단장은 정부가 사고 직후 얘기했던 1대1 매칭 지원에 대해서도 “어떤 유가족들의 경우에는 트라우마치료센터 같은 데서 도움을 받았다는 분도 계신데 또 반면에 다른 분의 경우에는 아예 아무 연락도 못 받았다는 분도 계시다”고 밝혔다. “유족 분 중 한 분은 사망진단서를 가지고 오셨는데 시간불상, 장소불상, 사인불상 모든 게 불상으로 기재되어 있었다”는 사례도 소개됐다.
윤 단장은 유족 배상, 지원금 문제를 거론하고 있는 정부 대응에 대해서는 “금전 배상에 앞서 참사의 원인과 진상 규명이 더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본다”며 “유가족 분들께 관련 정보는 소외한 채 지원 대상으로 보는 그런 시각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윤 단장은 정부가 위패와 영정 없는 분향소를 운영해 일부 매체들이 이에 반발해 피해자 명단을 공개하면서 논쟁이 벌어진 것에는 “애당초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추모공간을 만들 때 위패를 모실 것인지를 각 유족 분들의 뜻을 묻고 했다면 이런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온라인 매체나 종교단체가 추모를 위해서 공개한다고 하니까 그거 유족 동의를 안 받은 거 아니냐 하고 비난하는 게, 정부 처사가 좀 앞뒤가 안 맞는 거 아니냐”며 “저희 요구사항에도 나와 있듯이 공적으로 유족에 희망여부를 물어서 위패를 모실 것인지를 이렇게 물어서 이름 공개 여부도 처리를 해야 된다, 공적 처리가 필요하다, 이렇게 견해를 갖고 계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