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 의원은 “오늘 새벽,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향해 ‘10%+α’의 상호관세 도입을 전격 발표했다. 모든 수출국에 대해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이 중 ‘최악의 국가’로 분류된 25개국에는 별도 국가별 고율관세를 추가 부과하겠다는 것”이라며 “한국은 그 중 하나로 지목되어 무려 25%의 관세를 적용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을 직접 거론하며 ‘한국 수입차의 81%가 한국에서 생산된다’고 말했다. 보호무역을 명분 삼아 한국산 자동차에 직격탄을 날린 것”이라며 “우리 수출의존형 경제, 특히 미국 시장 비중이 큰 자동차 산업에는 엄청난 타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건 단순한 통상 이슈가 아니라 국가경제의 중대한 위기 상황임을 명심해야 한다”며 “수출 급감, 투자 위축, 고용 충격이라는 ‘3중고’가 몰아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안 의원은 트럼프발(發) 고관세 대응을 위해 “한미 FTA 체제를 지키기 위한 국가적 총력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FTA가 미국에 불리하다며 수차례 비판해 왔고, 이번 조치는 FTA 정신을 정면으로 위배한다”며 “한덕수 대행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시작으로 한미 정상외교를 빠르게 복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또한 시급한 것은 민관이 협력해 외교·경제적 전략 대응에 나서는 것”이라며 “자동차를 비롯해 미국이 필요로 하는 조선, 반도체 등 분야를 중심으로, 미 전투기 등 방산수입 물자들을 중심으로, 실용적이고 상호 호혜적인 국가대 국가의 패키지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안 의원은 이번 고관세 사태에 대해 “더욱 개탄스러운 사실은, 한덕수 총리가 지난 87일간 직무가 정지된 상태였다는 점”이라며 “주미대사 출신이자 통상 전문가인 총리를 탄핵한 결과, 그 누구보다 절실히 필요했었던 통상 대응의 컨트롤타워가 붕괴됐다. 그래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초기에 아무런 활동을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아어 “이 모든 책임은 민주당의 무책임한 탄핵 정치가 낳은 국가적 대응 실패다. 국가적 위기 앞에서도 자신들의 권력 쟁취 목표만 집착하는 이들의 행태는 도저히 정상적이라고 볼 수 없다”며 “민주당은 탄핵 협박 정치를 즉각 중단하고, 대한민국 경제를 지켜내기 위한 초당적 협력에 지금 당장 나서주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