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이티바는 2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2022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회복지수 특별좌담회’를 열고, ‘2021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회복지수’를 발표했다.
이날 좌담회에는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 박승범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연구부학장(스파크바이오파마 대표), 이정석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회장, 프란시스 반 패리스 싸이티바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사장 등이 참석했다.
파이낸셜타임즈(FT)와 공동으로 20개국 1165명의 제약·바이오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이번 결과에서 우리나라는 산업의 회복 전망을 종합한 지수에서 6.76을 받으며, 7위를 점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1위였다. 세계 1위와 2위는 미국(7.21)과 스위스(7.08)가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세부 항목에서 다수 보완해야 할 부문도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정부 정책 및 규제 분야에서는 4위, 연구개발(R&D) 생태계 분야에서 4위 등으로 높은 순위를 보였으나, 공급망 회복력은 10위, 제조민첩성은 14위에 머물렀다.
다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은 당분간 역동성을 유지할 것으로 조사 대상자들은 내다봤다. 이들의 60%는 향후 2년 동안 신약 허가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코로나19백신과 치료제에서 시행했던 동시 검토 및 승인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유지되는 게 전제다.
김 사무총장은 “팬데믹 기간 기업의 연구 진행과 정부 규제기관 검토가 동시에 이뤄지는 ‘롤링리뷰(rolling review)’가 적용됐다”며 “기업과 규제기관 간 유기적이고 신속한 소통도 코로나19 이후 눈에 띄는 변화”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백신 제조사들이 우한 버전과 오미크론(BA.1)에 대한 비교를 통해 2가 백신 출시를 준비하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하위변이(BA.5)에 대한 비교가 필요하다고 안내한 것 등이 비슷한 사례”라며 “이와 같은 협업이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싸이티바는 이날 세계 18개국 500여명의 기업 관계자(약 800억 이상 매출 규모의 기업 임원진)를 상대로 진행한 2022년 정부 정책 및 규제 항목 심층조사 결과도 공개했다. 응답자 60%는 지난 2년간 산업을 위한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깨달았으며, 정부의 역할과 개입이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응답자 57%는 적극적인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디지털화에 더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수입원 등 공급망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답했다.
50%에 가까운 응답자들은 정부의 개입이 혁신, 공급망 회복, 인재 양성에는 중립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했다. 이를 근거로 정부의 지원이 업계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싸이티바는 진단했다.
신약 개발 과정은 달랐다. 좌담회 참석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신약 개발 과정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를 통해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앞당길 수 있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 같은 변화가 앞으로도 유지돼야 제약·바이오산업이 성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회장은 “코로나19 국면 속 정부의 백신 허가과정에는 반가운 면과 아쉬운 면이 모두 존재한다”며 “신속 허가 절차 도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뤄졌다는 점은 아쉽지만, 팬데믹 국면에서 정부와 산업계가 신속하게 합의를 이뤘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박 부학장도 “바이오벤처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시험계획을 제출하는 등 직접 소통으로 허가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며 이 회장과 견해를 같이했다.
김 사무총장은 “백신 개발 중 허가심사보다는 임상시험을 통한 위험 평가 단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며 “정부의 선공급과 명확한 개발 방향 지시 등을 통해 기업은 처음부터 완벽한 제형, 투여횟수를 내놓기보다 안전성·유효성 평가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부족한 인재는 조속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다시금 강조됐다. 인재 부족은 ‘2021년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회복지수’에서도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이다. 올해도 마찬가지였다.
패리스 사장은 “바이오 공정에서 가장 기본인 장비 세척 업무에도 5년 이상의 숙련이 필요할 정도로 현장형 바이오 전문가 양성은 오랜기간이 필요하다”며 “바이오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산업뿐만 아니라 정부의 협조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 회장도 “장기적 계획과 투자를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 주도하에 인재 양성을 담당하는 통합기관을 마련해 운영하는 게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