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건의 발단은 남측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이다. 우리 정부가 이를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방임한 것이 북한을 자극했다. 이에 북한은 똥과 휴지로 가득찬 오물풍선으로 이를 되갚는 방식의 보복을 자행하고 있다. 불과 2주 사이에 네 차례나 보냈다.
정부는 대북단체 제지 등의 타협 대신 확성기 재개라는 압박 카드를 꺼내들었다. 6년만에 재개된 확성기에서는 북한인권의 실상과 한국의 가요가 흘러나와 북한의 폐부를 찌르고 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담화를 발표하고, ‘새로운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도발, 북한의 대북확성기 방송, 포격 등 카드 등을 꺼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0년 전인 2014년 북한은 경기도 연천에서 날린 대북전단 풍선을 향해 고사총을 발사한 적이 있다. 당시 우리군도 대응 사격을 하면서 일촉즉발의 상황까지 갔다. 이번에도 그 사태가 재현될 여지가 큰 상황이다.
정부의 대응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 접경지 주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고 서울과 수도권 주민들은 오물풍선에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다.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는 것은 필요하다. 하지만 최선의 방안은 대응보다는 관리다. 이번에도 대북전단 살포를 자제했다면 이렇게 상황이 악화되지 않았을 것이다. 대북전단을 보내는 일이 우리 국민을 안심하고 살게 하는 일보다 더 중요한 일은 아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