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지난 2019년 5월, 공주보 개방에 따른 물 이용 대책으로 지하수 이용 장애가 우려되는 공주시 쌍신동과 신관동의 일부 지역에 대체관정(10m 깊이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기존 관정을 대체) 27공을 설치했다.
그러나 최근 일부 지역 주민들이 전기료가 대체관정 설치 전에 비해 10배가 급증하고, 지하수가 나오지 않는 등 농사용 물이 부족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환경부는 공주시와 함께 모든 대체관정 27공을 대상으로 양수량 측정, 이용자 면담 등 현장 조사를 했고, 개인정보이용 동의를 얻은 25공에 대해 한국전력으로부터 전기료 부과내역을 회신받아 분석했다. 다만 25공중 22공은 부과내역 확인, 3공은 명의·계량기 일련번호 불일치로 확인이 불가했다.
전체적으로는 2019년 5월 대체관정 설치 전·후인 2018년~2020년의 전기료를 비교하면 뚜렷한 추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2공의 연간전기료 총액은 매년 500만 원 전후로 큰 변화는 없었다.기존 22공의 2018년도 연간전기료 총액 490만 7000원과 비교했을 때, 2019년은 508만 4000원으로 3.6%가 증가했고, 2020년에는 452만 8000원으로 오히려 7.7%가 감소했다.
하지만 1공(A관정)에서는 대체관정 설치 후인 2019년~2020년을 비교하면 전기료가 약 2배 이상 급증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대체관정 때문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A관정의 전기사용량을 지하수 사용량이 비슷한 다른 관정 2공(B·C관정)과 비교한 결과, 지하수 사용량에 비해 2020년 전기사용량(8154kWh)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관정을 벼농사 기간(최대 6개월) 내내 지하수 관정 전기모터를 쉬지 않고 가동한다고 가정해도 얻을 수 없는 수치인 만큼, 관계기관(한국전력, 전기안전공사)은 전기사용량을 증가시킨 다른 요인이 있다고 봤다.
환경부는 “관계기관은 A관정의 전기사용량을 증가시킨 다른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누전 등 전력·전기계통 문제를 추가 검사(6월 말~7월)했으나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 환경부는 관정 이용자, 관계기관과 협의해 대체관정용 별도 계량기를 이달 중 새로 설치했고, 전기사용량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환경부는 전체 관정 중 22공에 대한 양수량 조사 결과 양수는 평균 172m3/일(최소 123m3/일에서 최대 208m3/일) 수준으로 지하수 사용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달 중순부터 지하수를 이용하는 30여 가구를 각각 방문해 해당 주민들에게 이번 조사 결과를 직접 설명하고 있다.
박미자 환경부 4대강조사평가단장은 “지하수 대체관정과 양수장 항구대책 추진 등 공주보 지역의 농업용수 이용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면서 “앞으로도 지역의 지하수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현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농민들과 보를 개방해도 물 이용에 문제가 없다는 상호 신뢰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