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부동산114가 서울에서 진행하는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예상되는 주택 멸실 물량은 3만7675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서울 입주 물량 4만3106가구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서울에서 실제 공급되는 주택 수를 가늠할 수 있는, 입주 물량에서 멸실 물량을 뺀 순입주 물량이 플러스(+)로 돌아서는 것은 2014년 이후 5년 만이다.
2016~2018년 서울에선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며 연평균 멸실 물량이 4만4000가구에 달했다. 2010~2015년 연평균 사라진 아파트가 2만445가구였던 데 견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올해 멸실 예정 물량은 2010~2015년보다 많긴 하지만 정비사업이 활발했던 지난 3년 평균치보다 6000가구가량 줄어드는 셈이다.
올해 이주를 시작할 주요 재건축 단지는 서초구에, 재개발 단지는 서대문구에 각각 몰려있다. 서초구에서는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2100가구) △방배13구역(1562가구) △방배5구역(1108가구) 등이, 서대문구에서는 △북아현뉴타운3구역(2557가구) △북아현2구역(1261가구) 등이 각각 연내 이주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입주 물량이 멸실 물량보다 더 많아지며 전셋값이 안정세를 찾았을 뿐 아니라 매매값에도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부동산114는 분석했다. 특히 올해 입주는 확정돼있지만 멸실은 정비사업 지연에 따라 실제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희소성’이 서울 매매값을 밀어올리는 장세를 기대하기 어렵다고도 부연했다.
내년에도 서울에서 집들이를 앞둔 물량은 4만여가구에 달한지만 2021년 이후 신규 입주물량이 1만~2만가구 수준으로 줄 수 있다고 부동산114는 전망했다. 택지 공급이 제한된 서울에선 주택 공급을 정비사업에 주로 의존하는데, 재건축·재개발 추진이 지연되는 사업장이 나타나고 있어서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지난해 말 정부와 서울시가 3기신도시와 도심 유휴부지 개발 구상을 발표했지만 서울로 진입하려는 수요가 여전해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외에 정책 대응이 쉽지 않다”며 “용적률 상향, 임대주택 공급 활성화 등으로 서울 지역의 중장기 공급 감소에 대한 대응책을 함께 고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