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생활치료센터 문을 닫는 이유는 정책 변화다. 현재 확진자 대부분이 자택에서 격리하고, 해외입국자에 대한 유전자 증폭(PCR) 검사는 10월 1일 폐지되는 등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해야 할 이유가 줄었다.
앞서 정부는 지난 5월 말 내국인 대상 권역별 생활치료센터 운영을 종료했다. 제13중앙생활치료센터까지 문을 닫으면 정부가 운영하는 생활치료센터 운영은 모두 종료된다.
생활치료센터는 2020년 75곳, 지난해 151곳, 올해 98곳 등 총 324곳이 운영됐다. 2020년 2만 8613명, 지난해 27만 2996명, 올해 11만 1827명 등 총 41만 3436명의 확진자가 이용했다. 투입된 예산은 2020년 515억원, 지난해 4469억원, 올해 2648억원 등 총 7632억원이다.
제13중앙생활치료센터 입소가 중단되는 11월 23일 이후부터는 각 지자체에서 무증상·경증 외국인 확진자가 이용할 수 있는 호텔 등 격리 가능한 시설을 안내할 예정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제주, 부산 등은 지금도 격리 가능한 호텔이 지정돼 있다.
정부는 향후 유행추이에 따라 생활치료센터의 재가동이 필요할 경우, 지자체가 확보하고 있는 예비시설(2556병실)을 활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올해 말 코로나19 거점전담병원 계약을 갱신 없이 종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거점전담병원 계약이 12월 종료된다. 지금 일반 치료병상 이용률도 굉장히 높고 기존 국가경리병상, 긴급치료병상 등 고정 확보된 병상이 있다”며 “지정병상이 어느 정도 규모가 필요할지 변동 가능한 부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