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각 지지율이 10%대로 추락한 기시다 총리는 지난 2월 김정은 위원장과 북일 정상회담 추진이라는 깜짝 카드를 꺼내들었다. 급락한 지지도를 만회하고자 일본인 납북자 문제를 논의하는 북일 정상회담을 정치적 돌파구로 삼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기시다 총리 측은 내각관방부와 외무성 등 여러 경로로 북한과 접촉을 시도했다. 그러나 회담 제안 석달이 지나도록 양측은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11일 도쿄에서 열린 납북 피해자 귀국 요구 집회에 참석해 “북일 정상회담 실현을 위해 정상끼리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관계를 만들고 싶다”며 거듭 열의를 보였지만, 양측 대화는 진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북일 논의는 정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아사히는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전했다.
일본인 납치 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이 치열한 기싸움을 벌인 탓이다. 이는 지난 3월 김정은 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조선노동당 제1부부장이 낸 성명서에서 고스란히 드러났다. 당시 김 부부장은 “납치 문제에 집착하는 것은 기시다 총리의 인기몰이를 위한 구상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양국 간 비공개로 진행한 외교적 교섭 과정을 폭로했다.
그러자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일본인 납치 문제를 거론하지 않으려는 북한 측 요구사항에 대해 “납치 문제가 이미 해결됐다는 주장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섰고, 북한은 일본과 접촉 거부를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요시마사 장관은 여전히 일본인 납치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이날 고이즈미 전 총리의 방북 20주년과 관련해 “2004년 피해자 가족 귀국 이후한 사람의 납북자도 귀국하지 못한 게 통한스럽다”면서 “가능한 한 빨리 모든 납북자들의 귀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납북자 문제는 2002년 납치 피해자 5명과 2004년 피해자 가족들이 송환된 이래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일본이 북한의 외교 정책 우선순위에서 뒷전으로 밀려난 것도 북일 정상회담 논의가 답보 상태에 빠지게 된 배경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는 북한산 미사일과 포탄 등 무기를 제공받고, 그 대가로 식량과 석유, 장거리 미사일 등을 북한에 지원하는 등 최근 양국은 밀착 관계가 심화하고 있다. 북한은 중국과도 고위급 방문을 늘리는 등 기존 우방국들과 결속을 다지는 모습이다. 2000년대 고이즈미 총리가 방북했을 당시와 외교지형도가 전혀 다른 양상으로 펼쳐지고 있어 북한이 일본과 관계 개선 필요성이 많이 낮아졌다는 지적이다. 더구나 집권 자민당의 정치자금 스캔들로 기시다 내각의 구심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북한 입장에서는 더더욱 정상회담에 나서야 할 유인이 떨어진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산케이신문은 “20년 전 고이즈미 전 총리처럼 기시다 총리도 북한과 극비 협상 채널로 활로를 찾으려는 모습은 겹치지만 성과를 거둘지는 불투명하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