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이모 씨는 퇴직하고 주거·돌봄·일자리 거점인 지역활력타운으로 이주를 결심했다. 낮에는 복합문화체육시설에서 악기를 배우거나 수영과 파크골프를 즐길 계획이다. 저녁에는 지역 대학 평생교육원에서 그동안 배우고 싶었던 학업을 시작한다. 평일 이틀 정도는 퇴직 전 승강기 회사에서 일한 경력을 살려 인근 승강기대학에 강의도 나간다. 아픈 날에는 수요 응답형 대중교통을 이용해, 국토 모니터링을 통한 생활권 분석으로 설립된 인근의 거점 병원으로 진료를 받으러 간다.
|
기본 계획은 지방이 먼저 주도적으로 발전 계획을 세우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현 정부의 지방 시대 기조에 따라 89개 인구 감소 지역과 이를 관할하는 11개 시도가 상향식(Bottom-up)으로 수립한 인구 감소 지역 관련 첫 번째 범정부 종합 계획이다. 정부가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지자체가 이를 토대로 계획을 수립하는 기존의 하향식 방식(Top-down)에서 벗어나 인구 감소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대책을 내놨다는 점에서 향후 실제 효과에 관심이 모아진다.
기본 계획은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비전으로 ‘지방 소멸 위기 극복 및 새로운 활력 제고’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3대 전략을 제시했다. 3대 전략은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및 산업 진흥, 매력적인 정주 여건 조성 지원, 생활인구 유입 및 활성화 도모다.
또 기업 지방 이전 촉진과 지역 특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 인구 유입, 낙후 지역 인프라 확충과 의료 및 돌봄 사각지대 해소 등을 통한 매력적인 정주 여건 조성, 생활인구 제도 확립 등 16대 추진 과제 및 43개 실천 과제도 마련해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3대 전략이 제대로 이행되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우선 연 1조 원 규모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우수한 사업을 발굴해 성과를 창출한 지역에 더 많이 배분되도록 지원 방식을 개선한다. 올해의 경우 지자체별로 64억~120억 원의 기금을 배분했는데, 내년도엔 64억~144억 원을 배분함으로써 차등 지급을 강화한다. 기금 배분 평가 기준에 집행 실적도 포함해 사업이 신속히 추진되도록 유도한다.
지방소멸대응기금에서 1000억 원을 내년 1월 출범하는 ‘지역 활성화 투자펀드(총 3000억 원 규모)’에 출자해 지역이 연 2조~3조 원 규모의 대규모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펀드는 민간 투자를 유인해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정부는 해당 펀드가 마중물 역할을 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36개인 인구 감소 지역 맞춤형 특례도 오는 2026년까지 150개로 늘리고, 각 부처에서 사업을 추진할 때 할당·가점 부여 및 보조금 비율 상향 등의 방식으로 인구 감소 지역을 우대한다. 이 밖에 인구 감소 지역에서 각종 대책 추진 시 통계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통계 자료와 함께 정성적인 분석 자료까지 제공해 지역의 특성과 실정에 맞는 인구 감소 지역 맞춤형 대책 마련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