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산화탄소 상당량을 뜻하는 CO2eq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온실가스의 복사 강제력을 비교하는 단위로서 해당 온실가스의 양에 지구 온난화지수를 곱해 산출한 값이다. 기준배출량은 기관별 2007년부터 2009년 평균 배출량으로 시설의 신설·증설·폐쇄 등을 반영해 매년 조정한다.
지난해 감축률 23.5%는 전년 감축률 19.6% 대비 3.9%p 추가 감축한 수치다. 배출량 398만t CO2eq은 제도를 처음 시행한 2011년 배출량 473만t CO2eq과 비교하면 15.8%인 75만t CO2eq을 감축한 성과다.
기관유형별 지난해 감축률은 지자체가 28.1%으로 가장 높았고 △공공기관 25.6% △국·공립대학 22.5% △지방공사·공단 20.9% △중앙행정기관 17.7% △시도 교육청 14.8% △국립대학병원·치과병원 8.9% 순으로 나타났다.
연간 1000t 이상의 온실가스 배출기관 중 감축률 상위기관은 충남 서천군이 54.8%로 가장 높았다. △인천광역시(5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50.8%) △경상북도 영천시(49.3%) 등이 뒤를 이었다.
온실가스 감축 주요수단은 조명 소등 및 냉·난방 온도준수 등의 행태개선으로 90만t을 감축했고 친환경차량 교체, LED 조명 및 고효율기기 보급,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설치 등의 시설개선을 통해 11만t을 감축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탄소포인트제와 외부감축사업을 통해 21만t을 추가로 감축했다. 탄소포인트제는 가정·상가 등에서 전기·상수도·도시가스 등의 온실가스 감축실적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부여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천프로그램이다.
환경부는 감축 성과가 미흡한 기관을 대상으로 전문기관 에너지 진단 후 시설개선 등 사후관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오는 10월에는 운영성과대회를 개최해 모범사례를 공유·확산할 계획이다. 한국형 그린뉴딜 사업에 ‘그린리모델링’ 관련 다수 부처의 투자사업이 포함돼 올해 이후 공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오일영 환경부 기후전략과장은 “2021년부터 한국형 그린뉴딜 정책의 공공부문 투자 확대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해 2030년까지 공공부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신규목표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목표보다 도전적으로 설정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