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과거 중국과 일본 등에 의해 왜곡된 한국의 역사·문화 정보가 해외 인공지능의 학습 데이터에 반영됨으로써 전 세계인들에게 여과 과정 없이 왜곡된 정보가 소개되고 있다”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학습데이터인 교과서와 출판물, 웹사이트의 왜곡된 정보를 바로잡는 것뿐만 아니라, 해외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해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다가오는 디지털 제국주의 시대에 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반크에 따르면 주요 생성형AI는 만리장성에 고구려의 박작성을 포함시키고, 동해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는 과거부터 중국과 일본이 해외에 홍보한 영문 자료를 바탕으로 AI가 학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제자로 나선 권소영 반크 연구원은 “중국의 만리장성을 소개한 세계 역사책 40권을 분석한 결과 만리장성의 동쪽을 베이징 인근 허베이성 산해관으로 정확히 소개한 사례는 4권에 불과하다”며 “대부분 교과서는 중국이 동북공정이후 발표한 만리장성을 소개하고, 월드히스토리와 위키피디아는 만리장성을 북한 평양지역으로 까지 뻗어있는 것으로 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MS 코파일럿에 물어보면 만리장성의 길이를 2만1196km로 답하는데, 이를 본 많은 사람들이 고구려를 중국 역사로 편입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며 “챗GPT도 동해를 분쟁지역으로 답하는데 이또한 일본측 편향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역사왜곡 문제가 과거에는 교과서 등 책자를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AI 시대에는 문화로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에 외교부·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등 범부처가 협력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
김진희 문체부 해외홍보기획과장은 “문체부도 K-인포허브를 구축해서 생성형AI에 이미지와 영상을 고품질로 제공하고,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 홍보에 힘쓰고 있다”며 “다만 독도·동해, 만리장성 문제는 외국인에게 설명하기 어렵다. 해외홍보국은 (역사)시정작업을 하지만 소통방식이 다르다”라고 했다.
이어 “생성형AI 문제는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인지, 해외에 알리기 위한 정책인지 목적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율리 교육부 동북아역사대응팀장은 “1979년부터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학술전쟁으로 간주하고 대응해왔다”며 “생성형AI 시대는 교과서보다는 문화적 다양한 콘텐츠 대응이 돼야 하는 시점이 된만큼 외교부·교육부 중심에서 문체부를 포함한 범정부부처가 협업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