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으로부터 이같은 ‘2021년 경제정책방향’을 보고 받았다. 홍 부총리는 “재정정책은 확실한 코로나19 위기 돌파를 위해 확장적 기조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에 전체 예산의 72.4%를 배정했고 이 중 사업비 집행목표를 63%로 설정했다. 내년도 전체 예산(558조원) 중 인건비·경비 등을 제외한 관리대상사업비(320조원)의 63%(202조원)를 상반기에 투입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역대 가장 높은 조기집행률이자 최대 수준의 조기집행 사업비다.
정부는 경기 파급 효과가 큰 일자리 및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중심으로 이같은 조기집행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내년 SOC 예산은 올해보다 14.2% 늘어난 26조5000억원에 달한다. SOC 예산은 2016~2018년 3년 연속 감소했다가 2019년에 반등한 뒤 2019~2021년 3년 연속 증가했다.
이렇게 지출이 느는데 수입은 오히려 줄었다. 내년 총지출은 558조원으로 불어났는데 총수입은 483조원에 그칠 전망이다. 이 결과 통합재정수지(총지출-총수입)는 75조원(GDP 대비 -3.7%) 적자가 불가피하다. 내년도 국가채무는 956조원(GDP 대비 47.3%)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나랏빚 2017년 660조→2022년 1070조
이대로 가면 통합재정수지는 올해부터 2024년까지 5년 연속으로 적자다.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7~1999년 당시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보다 길다. 국가채무는 문재인정부 마지막 해인 2022년에 1070조3000억원으로 불어난다.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660조2000억원에서 5년 새 410조1000억원 증가하는 것이다.
정부는 지속가능한 재정을 구축하기 위해 재정준칙을 마련하기로 했다. 지난 10월 공개된 재정준칙은 국가채무 비율을 GDP 대비 60% 이하로 유지하고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를 GDP 대비 -3%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기재부는 한국형 재정준칙 법안을 추진하고 내년 8월 발표하는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도 이를 반영하기로 했다.
그러나 얼마나 재정적자가 개선될지는 미지수다. 재정준칙은 차기정부 때인 2025년에야 시행되고, 재난 상황에는 적용하지 않는 등 예외조항도 뒀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선거를 앞두고 일단 재정을 대대적으로 풀자는 입장이어서 정부가 이를 선별해 적재적소에 쓰는 게 쉽지 않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는 국가채무 우려를 고려해 재정을 어떻게 잘 쓸지 고심해야 한다”며 “재정을 많이 집행했는데 경제를 살리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