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2025년 경기공유학교는 지역 특성과 교육 방향을 담아 △지역맞춤형 △학생기획형 △대학연계형 △수업위탁형 △학점인정형 △공헌형 등 유형을 운영한다.
|
특히 올해는 ‘경기공유학교 온라인시스템’을 새로 개통해 학생 참여를 확대하고 활용 편의성과 접근성을 높인것이 특징이다.
시스템에서 교육활동 개설과 강사 등록, 학생 모집 등이 가능하고 출결 관리 및 학습 이력 관리, 이수증 발급까지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다.
도내 31개 지역에서는 경기공유학교 온라인시스템을 활용해 680여개의 지역맞춤형 프로그램을 개설했다.
지난 31일까지 19개 지역에서 수업을 시작했고 나머지 12개 지역도 순차적으로 학생을 모집해 수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대학연계형’은 지역 대학교를 거점으로 심의를 통과한 220여개 강좌가 개설될 예정으로 지역별로 학생 수강 신청 이후 최종 개설 강좌가 확정된다.
‘학생기획형’은 학생들의 기획 워크숍을 거쳐 사전 제안받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모두 498교가 지원했고 3단계 선정 심사를 거쳐 318교를 선정해 4월부터 운영한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공유학교는 원하는 배움이 다 되는 세상에서 가장 큰 학교”라며 “경기공유학교 온라인시스템 기능 고도화를 통해 학생 맞춤형 교육 실현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