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미래차 통상환경 불확실성 커져…한국·아세안 협력이 해법"

이다원 기자I 2025.04.07 13:33:17

첫 번째 아시아모빌리티포럼 개최
서울모빌리티쇼와 연계해 열려
"미국 관세 부과로 통상 불확실성↑"
태국·베트남 등 아세안 전동화 가속
"한국, 미래 모빌리티 최적 파트너"

[고양=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최근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등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로 불리는 지역 간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세안(ASEAN) 지역에서의 민간 협력이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필수적입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이 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아시아모빌리티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이다원 기자)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7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아시아모빌리티포럼 개회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올해 처음 열린 아시아모빌리티포럼은 오는 13일까지 열리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와 연계해 열린다. 아시아 지역 정부와 민간 전문가가 불확실한 통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 모빌리티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강 회장은 “아시아 주요국은 전동화 정책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며 “특히 한국, 중국, 일본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등 아세안 정부가 미래차 산업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고 짚었다.

아세안 지역에서 전동화 전환 속도를 내고 있는 대표적 국가는 태국이다. 태국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생산 차량의 30%를 전기차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수입 관세와 소비세를 감면하고, 구매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 효과로 전기차 판매가 급증해 지난 2023년 7만 6000대, 시장 점유율은 12%를 기록하기도 했다.

전기차 기업 ‘빈패스트(VINFAST)’ 거점인 베트남도 전기차 보급 속도를 높이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전기차 보급을 위해 인프라를 적극 확장해 올 연말까지 전국에 2만개 이상의 충전소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강 회장은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경주에서 열린다”며 “이와 연계해 자동차 분야에서는 APEC 오토 다이얼로그(AD)를 5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개최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번 APEC AD는 산업통상자원부와 KAMA가 공동 의장을 맡는다.

강 회장은 “한국은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차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과 스마트 제조 혁신 역량까지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매우 우수한 강점을 갖고 있다”며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키워 나가는 데 있어 최적의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포럼을 계기로 아시아 역내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하여 자동차산업의 비전과 과제를 돌아보고 미래를 함께 그려가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김종철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력국장은 축사를 통해 “아시아는 모빌리티 변화를 선도하는 핵심 지역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60%를 차지하는 47억명 이상의 인구와 함께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한국은 아시아의 모빌리티 산업 발전을 위해 다각적인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국의 자동차 생산 경험과 기술력, 아시아의 높은 성장 잠재력과 혁신성이 만나 새로운 산업 협력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열린 아시아모빌리티포럼은 총 2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EV(전기차)·배터리 등 전동화 전환’을 주제로 태국, 베트남 등 아세안 지역 전문가와 산업연구원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을 테마로 인도네시아 전문가와 한국자동차연구원, 포엔, 현대차 등이 발표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