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어·귀촌가구는 총 32만9986가구, 가구원수 46만1879명으로 집계됐다.
귀농가구는 1만1422가구로 전년대비 4.5%(539가구) 감소했다. 귀어가구는 904가구, 귀촌가구 31만7660가구로 같은기간 각각 1.4%(13가구), 3.3%(1만683가구) 줄었다. 가구원수로는 귀농이 1만6181명, 귀어 1234명, 귀촌 44만4464명으로 1년새 9.4%(1675명), 4.0%(51명), 5.9%(2만8010명)씩 감소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귀농·귀촌 인구는 2017년 51만6817명까지 증가했다가 2018년(49만330명), 작년(46만645명)까지 감소세다. 이에 대해 김정희 농식품부 농업정책국장은 “지난해 이례적인 총 인구이동의 감소와 혁신도시 지방이전 완료, 1인 가구의 이동 증가, 신중하게 귀농하는 경향 등의 요인들이 복합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특징을 보면 30대 이하 귀촌가구 비중이 44.3%로 전년대비 0.5%포인트 상승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귀농에서는 60대 가구 비중(30.3%)이 2%포인트 상승하는 등 은퇴한 베이비부머 세대의 유입도 꾸준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귀농가구 비중은 72.4%로 3.5%포인트 늘었는데 이는 가구주가 먼저 이주한 다음 가족 구성원이 합류하는 경향이 확대됐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귀농가구의 임차 경영 비중(38.6%)은 1.6%포인트 상승해 귀농 초기 임대농지 활용 추세가 늘어나는 양상이다.
해양수산부는 정책 상황이나 기술·경제 부담이 귀어가구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봤다. 이수호 해수부 어촌양식정책관은 “어촌계 가입 조건이나 어업면허 허가수 제한 등이 추진 중이고 어업기술 습득이나 양식장 선박구입비 등이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역별 귀어가구 분포 현황을 보면 전남·충남이 전체 64.5%를 차지하는데 이는 수산업의 비중이 큰 지자체가 자체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어업에 종사하는 전업 귀어인은 658명으로 68.6%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다른 직업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겸업인이다.
|
정부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귀농어·귀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 위기에 따른 실직 등 고용 불안에 농어촌을 찾는 인구가 많아진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귀농가구는 6409가구로 전년(1841가구)대비 3.5배 가량 급증한 바 있다. 금융위기를 겪던 2009년에도 전년(2218가구)보다 두배 가량 늘어난 4080가구가 귀농했다.
농식품부는 도시민들의 귀농·귀촌을 돕기 위해 농업 일자리 교육, 정보제공 확대를 추진한다. 현재 귀농귀촌종합센터 홈페이지와 각 교육기관을 통해 교육 신청을 받고 있다.
청년 귀농·귀촌인의 정착을 위해서는 한달에 최대 100만원의 지원금을 최장 3년 지원하는 영농정착지원 사업을 올해 1600명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농지은행은 올해 6460억원을 들여 유휴농지를 청년농에게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도 이전 빈집 수리에서 신축까지 대상에 포함키로 했다. 농촌에서 6개월간 거주하며 경제활동을 체험하는 살아보기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해수부도 귀어·귀촌 박랍회와 종합센터 운영을 통해 관련 정보를 지속 제공한다. 어업활동에 필요한 기술 습득을 위해 지역별(경남·충남·전남·강원) 귀어학교를 운영 중인데 내년 경기·경북에 추가로 개교할 예정이다.
어업 창업과 주거 마련에 필요한 자금 지원은 지난해 5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늘려 운영 중이다. 초보 귀어인 대상 멘토링·컨설팅을 지원하고 어촌 유휴시설을 정착·소득활동에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신규 인력 진입이 어려운 어업의 구조적인 문제도 개선해나갈 방침이다. 이 정책관은 “어촌계 규약개정 등으로 개방도 높은 어촌계를 발굴·육성해 자발적인 진입장벽 완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유휴양식면허권과 어선허가권의 이양·매입·임대 등으로 쉬운 어촌 정착을 돕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