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익신고가 이같이 급증한 건 시민들의 신고의식이 높아진 이유도 있지만 신고를 하나의 취미 활동이나 놀이처럼 여기는 경우도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온라인에서는 ‘취미로 신고한다’는 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취미가 공익신고라고 밝힌 누리꾼은 “맨 처음 공익신고를 시작했을 때는 법규를 위반하는 차 때문에 화가 나서 했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주변에 법규 위반 차량이 보이면 신고해서 과태료 먹일 생각에 기분이 좋다”며 “공익신고에 별다른 뜻은 없다. 그냥 재미있으니까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고도 쌓이고 도로도 깨끗해지는데 이것만큼 건전하고 유익한 취미가 또 있으려나 싶다”고 덧붙였다. 이 누리꾼은 교통 딱지를 ‘상품권’이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시민들은 대체로 “모범시민이다”, “신고 당하기 싫으면 법규 위반 안 하면 된다”, “이런 사람들이 많아져야 더 나은 교통 문화가 정착된다” 등 반응을 보이며 호응했다.
실제 공익신고 제도가 긍정적 효과를 낸다는 분석도 있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1970년 약 13만대에서 지난해 2490만대로 약 190배 이상 늘어났다. 반면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공익신고 제도가 도입된 2013년(5092명)부터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에는 처음으로 교통사고 사망자가 2000명대로 떨어졌다.
반면 무분별한 신고는 되레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의견도 있다. 시민 서로가 감시하게 만들어 불신을 야기한다는 것. “국민 쌈박질 유도 정책”이라며 다소 격하게 반발심을 드러내는 이들도 있다.
한편 급증하는 공익신고에 대응해야 할 담당 경찰은 부족한 상황이다. 지난해 7월 기준 교통법규 위반 공익신고를 담당하는 경찰관은 462명으로, 이 중 220명은 다른 업무를 병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