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서도 AI 반도체 통해 윈윈해야”
AI·반도체 전문가들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필두로 한 AI 반도체가 한미 협력의 단초가 될 수 있다고 봤다. 공급망 측면에서 소·부·장 협력과 연구개발(R&D), 전문인력 육성 등 한미 간 협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서도 양국이 ‘윈윈’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창욱 BCG MD파트너는 주제발표를 통해 “AI를 구현하는데 미국에서는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하고, 한국은 HBM과 패키징 기술 등이 일부 있다”며 “트럼프 정부가 관세를 계속 말하고 있지만 AI 반도체에서 양국 간 공급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
아울러 한국이 미국산 GPU를 활용해 실제 AI모델을 배포할 수 있다고 초르젬파 선임연구원은 조언했다. 그는 “한국은 인공지능(AI) 확산 규칙(국가별로 확보 가능한 AI 프로세서 수를 제한하는 규정)에서 미국산 AI 반도체 수입 제한이 없는 몇 안 되는 나라”라며 “한국이 미국의 기초 모델을 바탕으로 다양한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고 했다. 미·중 갈등 상황에서 특히 한미 간 AI 반도체 협력은 더욱 공고해질 수 있다고 봤다. 한미 양국이 상호 보완적인 AI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美 함정 MRO 등 협력 범위 넓혀야…법 개정 필요
조선·방산 전문가들은 미국의 함정 노후화와 건조 능력 부족을 지적하면서, 함정 유지·보수 정비(MRO)와 건조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 기회가 있다고 분석했다.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미국 노후 함정의 정비 수요 급증에 따라 조선소 공간이 잠식돼 신규 함정 건조가 지연되고 있다”며 “한국과의 MRO 협력은 한국에서 빠르게 전투함을 수리할 수 있고, 미국 조선소의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의 존스법, 번스-톨레프슨법으로 인해 선박과 함정을 해외에서 건조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돼 있어 법적 규제 해결이 먼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액화천연가스(LNG) 대미 수입 확대와 원전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마크 메네즈(Mark W. Menezes) 미국에너지협회 회장은 “한국은 탄소 감축 노력 과정에서 LNG 소비량이 당분간 증가할 것”이라며 “LNG를 전량 수입하는 상황이어서, 대미 무역흑자 완화를 목표한다면 미국산 LNG 수입 확대가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