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노재웅 기자] “내일부터 다시 회사로 출근하세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됐으니 이제는 회사로 출근하라는 지시에 직원 A씨는 발걸음이 떨어지질 않는다. 지난 2년 동안 재택 및 원격근무의 효율성을 깨달은 탓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언제 어디서든 일할 수 있다’는 근무 유연성에 강제로 눈을 뜬 직원들은 사무실 재출근을 시대의 역행으로 여기기도 하며, 심지어 유연한 근무를 지속하기 위해 이직을 알아보기까지 한다.
보통의 기업들은 일상 회복에 발을 맞춘다는 명목으로 단순히 과거 방식 그대로 회귀해 사무실로 출퇴근을 지시하고 있지만, 앞서 가는 혁신기업들은 아니다. 직원들이 선호하는 근무형태가 무엇인지 고민의 뿌리부터 헤아리고, 첨단 기술을 도입해 선진 근무 문화를 만드는 노력으로 직원들의 로열티를 키우고 있다.
지난 7일부터 일산과 분당, 서울 신도림 3곳에 거점 오피스 ‘스피어’를 개관한 SK텔레콤이 대표 주자다. 재택근무보단 업무 집중도를 키우는 동시에 본사까지 출퇴근하는 시간은 최대한 절약할수 있는 방법으로 선택한 업무공간이다.
SKT는 스피어를 단순히 내 집에서 거리만 가까운 사무실의 개념으로 만들지 않았다. 그렇다면 재택근무가 아닌 거점 근무를 선택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각 직원의 개성과 선호에 맞춘 공간 콘셉트를 다양하게 마련한 것은 물론, 클라우드 시스템을 완벽히 구현해 개인 노트북을 들고 오지 않아도 평소 자신이 사용하던 PC와 똑같은 환경에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기술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스피어의 거리적 편리함과 공간·업무적 만족감에 직원들은 벌써 본사로는 절반만 출근하고 있으며, 재택 3대 거점 2의 비율로 자유롭게 근무하고 있다.
IT 업계의 큰형님 격인 네이버는 로봇·자율주행·AI·클라우드 등 네이버가 연구·축적한 모든 선행 기술을 망라하고 융합한 제2사옥 1784의 문을 열었다. 최근 자체 설문조사 결과 사무실 출근과 재택근무를 오가는 하이브리드 근무를 선택한 직원이 52.2%로 가장 많았는데, 재택근무와 병행해 근무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하면서도 출근 거부감을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업무 환경을 혁신한 것이다.
이 밖에도 AI기업 업스테이지는 ‘풀 리모트(전면 비대면 근무)’를 도입해 해외에서도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가 하면, CJ ENM과 한화생명은 제주도와 양양 등 휴양지에 사무실을 만드는 이른바 ‘워케이션(일과 휴가의 합성어)’ 시도에 나섰다. 직원과 기업 모두 행복하면서도 업무 효율은 떨어뜨리지 않는 선에서 여러 실험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몇몇 혁신기업들의 시도가 바람을 일으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근무 문화를 꽃피우게 될까. 변화에 익숙해진 직원 개인에 맞춘 근무의 혁신이 이뤄질지,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 꽉 막힌 도로 위나 비좁은 대중교통 속에서 출퇴근 시간을 허비해야 할 지 아직은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