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은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으로 수혜를 입은 국내 기업으로부터 기금을 조성해 일본 전범기업을 대신해 피해자들에게 대신 배상하는 방안을 지난 12일 토론회를 통해 공식화했다”며 “이는 전범국 일본과 전범기업의 책임을 면피하는 지극히 가해자 중심의 굴욕적 해법”이라고 성토했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또한 지난 2015년 한일합의 수준에서 나아가지 못했다고 했다. 이들은 “(정부가) 지난 2015년 한일합의를 되살리려고 한다”며 “한일개선을 맹목적으로 추구하고 한미일 군사협력을 강화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강제 징용 해법 논의를 위한 공개토론회’에서 ‘제3자를 통한 변제’ 방식으로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배상 문제의 해법을 마련 중이란 사실을 공식화했다. 그간 알려진 대로 행정안전부 산하 공익법인이 국내기업의 기부금으로 재원을 조성해 배상금을 변제하는 방안을 활용하기로 한 셈이다.
이날 집회에서 이나연 정의연 이사장은 “피해 생존자이자 소송 당사자인 양금덕 할머니는 일본의 사죄를 바란다고 말한다. 내일 죽더라도 한국에서 주는 더러운 돈은 받지 않겠다고 분통을 터뜨렸다”고 말했다.
정의연 등은 이날 수요집회를 마치고 외교부까지 행진한 뒤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은 “정부가 지난 12일 ‘날림식’ 공개 토론회를 열었다”면서 “대법원 판결은 일본 전범기업이 배상하라는 건데 일본이 사죄를 하느냐, 돈을 내놓느냐”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빵점짜리 빈손 외교를 했던 박진 외교부 장관을 해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