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의 투매도 진정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외국인은 중국 증시의 불안감이 최고조로 확산했던 지난달 3일 이후 상하이-홍콩 증시 연계투자(후강퉁) 시스템을 통해 425억위안(68억달러)을 빼갔다. 하지만, 지난달 8일 정부의 대대적인 부양책 발표 이후 최근 일주일 사이에는 33억달러의 외국인 자금만 빠져나갔다.
강력한 개입의 대가로 외국인 투자자 사이에서 중국 투자회의론이 확산하는 부작용도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시장에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을 목격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대적인 개입을 통해 주가폭락 국면을 진정시키려는 중국의 목표는 어느정도 달성된 셈이다. 마이클 파커 번스타인 리서치 투자전략가는“당국의 개입은 서툴렀지만, 효과는 분명했다”라고 평가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천문학적인 돈을 공급하고 대주주의 지분매각을 막는 식 등의 대대적인 개입을 지속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정부의 다음 행보에 시선이 쏠리는 시기”고 했다.
정부가 정보를 통제하고 있음에도 중국 언론을 통해 출구에 대한 얘기가 보도되고 있다. 중국의 유력 경제지 ‘차이징’(財經)은 증권 당국이 출구 전략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가 “사실이 아닌 무책임한 보도”라고 강력히 비판하자 이 회사는 웹사이트에서 해당 보도를 삭제했다.
그렇지만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 증권시보는 “당국이 전 세계에서 이뤄지고 있는 부양책을 전반적으로 검토했다. 주로 중·장기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쪽에 초점이 실려 있다”면서 “세계 모든 국가가 개입 뒤 최적의 시점에서 부드럽게 빠져나오는 방법을 고민한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달 말이나 다음 달 초 열릴 예정인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를 주목하고 있다. 이 회의는 중국 전·현직 지도자들이 여름철 휴가를 겸해 모여 정치나 경제 현안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를 하는 자리다. 증시 폭락에 개미 투자자들이 직격탄을 맞고 민심까지 흉흉해진 터라 주요 안건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베이다이허 회의 이후 향후 정부 행보가 가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
보좡 트러스티드 소시스 이코노미스는 “이번 베이다이허 회의에서 증시 급락문제는 반드시 논의될 것”이라면서 “경제적 영향보다 정치적 파장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