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한민국 수립 이래 총인구 첫 감소…노인 부양부담 커진다

원다연 기자I 2022.07.28 12:00:00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총인구 5174만명, 전년대비 0.2% 감소
생산연령인구 줄고 고령인구 증가
중위연령 44.5세, 노년부양비 23.6

4일 점심식사를 하기 위해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인근 원각사 노인 무료급식소를 찾은 노인들이 공원 내 나무 그늘 아래 마련된 의자에 줄지어 앉아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일할 수 있는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노인 인구는 늘면서 4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인구는 5174만명으로 전년대비 0.2%(-9만명) 감소했다.

인구 증가율은 최근 저출산의 영향으로 2018년 0.4%, 2019년 0.3%, 2020년 0.1% 등으로 계속해 하락해오다 지난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실시한 1949년 센서스 집계 이후 총인구가 감소한 것은 처음이다. 앞서 2020년에는 출생아수보다 사망자수가 더 많아 인구 자연감소를 처음 기록한 바 있다.

내국인이 5008만 8000명(96.8%), 외국인이 165만명(3.2%)으로 전년대비 내국인은 4만5000명(-0.1%), 외국인은 4만 6000명(-2.7%) 감소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인구 자연감소는 이미 계속되고 있었고 코로나로 인해 감소폭은 더 커지고 있었다”며 “지난해 코로나가 안정화되면서 그나마 들어왔던 내국인이 다시 나가고 외국인은 들어오지 못하는 상황 등이 더해지면서 인구가 감소했다”고 말했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인구가 16.6%(8576천명)으로 가장 많고, 40대 15.7%(8116천명), 60대 13.7%(7074천명) 순으로 나타났다.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하는 중위연령은 44.5세로 전년대비 0.6세 증가했다.

구간별로 보면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감소했지만 고령인구는 늘면서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94만 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4만 4000명(0.9%)이 줄었다. 0~14세 유소년 인구도 16만 7000명(2.7%)이 줄어든 608만 7000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870만 7000명으로 같은기간 41만 9000명(5.1%) 늘었다.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8%에 달했다. 특히 고령자를 세부 연령대로 85세 이상 초고령자가 10.1%를 차지해, 초고령자 비중이 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이에 따라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는 143.0으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인구의 부양비는 16.5로 전년 대비 0.3 감소한 반면, 노년부양비는 23.6으로 1.3 증가했다. 생산가능인구 4명당 1명이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셈이다.

인구 감소 추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앞서 통계청은 지난해 장래인구추계를 통해 2030년까지 연평균 6만명 내외로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 과장은 “적어도 외국인 순유입이 6만명 정도가 계속돼야 인구 감소가 제로가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인구수 반등이 외국인 순유입 정도에 따라 일시적으론 가능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인 감소 추세를 막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총인구 및 연평균 증감률. (자료=통계청)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