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추 부총리는 서울 마포구 경총 회의실에서 경총 회장단과 조찬 간담회를 열고 “최근 일부 정보기술(IT) 기업과 대기업 중심으로 높은 임금 인상 경향이 나타나면서 여타 산업·기업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특히 소위 잘 나가는, 여력이 있는, 큰 상위 기업 중심으로 성과 보상 또는 인재 확보라는 명분으로 경쟁적으로 높은 임금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그러면서 “대기업의 생산성을 초과하는 지나친 임금 인상은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확대하고 기업 현장 곳곳에서 일자리 미스매치(불일치)를 심화시킬 것”이라며 “기업은 이런 고임금·고비용 구조 아래에서 경쟁력을 계속 유지하기도 쉽지 않다”고 언급했다.
끝으로 추 부총리는 “임금은 기본적으로 노사 간 자율적으로 결정할 부분”이라면서도 “최근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감안해 경영계에서는 과도한 임금 인상을 자제해주고, 생산성 향상 범위 내 적정 수준으로 임금 인상이 됐으면 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경제위기대응특별위원회는 추 부총리의 발언을 비판하며 정반대로 소득을 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이어 일본의 경우를 예로 들며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내수 활성화가 안 됐다는 것이다. 기업의 수익률이 높아질 때 임금은 제자리다. 당연히 가처분 소득이 적으니 경제 활력이 생길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추 부총장의 해당 발언을 두고 “물가 상승의 원인을 고임금에 전가시키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특위 위원인 이용우 의원 또한 “임금 상승분이 물가에 전가되는 비중이 얼마 안 된다”며 “소득이 제한되고 줄어드는 상태에서 임금 인상을 자제하면 노동자가 힘들어질 뿐 아니라 경제가 악순환에 빠진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이런 국면일수록 오히려 소득을 어떻게 보전할 것인지가 필요한 시점이다. 오히려 소득주도성장 같은 수단을 지금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