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선거 후 광역단체나 지자체 등에서는 끊임없이 인사논란이 불거진다. 당선에 일조한 캠프 출신 인사나 전문성이 결여된 인물이 요직에 앉으면서 인사 잡음은 끊이질 않는 실정이다. 임명을 둘러싸고 공모형태는 갖추었으나 ‘짜고 치는 고스톱’이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가운데 인사 혁신을 꺼내든 김동연 경기지사가 관행처럼 여겨진 ‘코드·보은인사’ 꼬리표를 떼고 유쾌한 반란을 일으킬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도정을 평가하면서 가장 먼저 거론되는 부분은 ‘인사문제’이기 때문이다. 첫 인사부터 따라붙은 꼬리표는 오히려 도정 운영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기도 한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초대 비서실장을 도청 내부 공모로 뽑았다. 이는 인사 혁신의 첫 신호탄으로 이후 인선에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공백이 길어진 경기도 산하기관장 자리 인선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임 지사인 이재명 의원이 대선 출마로 정치행보를 함께 하기 위해 사퇴한 기관장들이 상당해 공석인 상태였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책임성 없는 단체장의 행태라며 인사에 대한 불만이 팽배했다.
특히 경기지사 재임 당시 이 의원은 ‘보은 인사, 낙하산 인사 등’ 의혹에 휩싸였다.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노조 총연맹은 ‘이재명 낙하산 인사 명단’을 공개하기도 했다. 공공기관 노조는 이 지사가 2010~2018년 성남시장을 지낼 당시 산하 기관에서 함께 일했던 인물과 2017년 대선 캠프, 2018년 경기지사 캠프 등에서 활동한 이들을 경기도청과 산하 공공기관 직원으로 채용했다고 주장하며 93명 이름이 적힌 ‘낙하산 인사’ 명단을 만들기까지 했다.
현재 경기도 산하기관 기관장이 공석인 곳은 경기주택도시공사, 경기관광공사, 경기도일자리재단 등 27곳 중 11곳이나 된다. 기관장 자리와 함께 본부장 등 주요 자리도 비어있는 곳도 상당하다. 기관장 임기는 2~3년이지만 도지사의 정치 로드맵에 따라 함께 바뀌어 결국 인사폐해의 부작용으로 드러나는 셈이다.
경기도 뿐 아니라 산하기관장 등 민선 8기를 함께할 인선에 김 지사는 “경기도정과 도 인사에서 유쾌한 반란을 일으키겠다”고 강조했다. 막강한 인사권을 쥔 김 지사가 역대 도지사와 달리 인사 논란 잡음에 휘말리지 않을지 이목이 쏠린다.
한 경기도 관계자는 “역대 도지사 가운데 측근 인사를 챙기지 않았던 적은 없었던 걸로 안다”며 “인사혁신을 강조한 김 지사이기에 기대를 하는 공직자들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