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강현 연세대 자동차의과학연구소장(한국자동차안전학회장·연세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은 지난 7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 소장은 “미래차와 관련한 신기술이 쏟아지고 있는데, 자율주행차만 하더라도 완전자율주행단계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실제 사고(실사고) 데이터는 예측할 수 없는 내용까지 담기 때문에 향후 미래차 안전을 확보하려면 실사고 데이터가 필수로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래차 시대 데이터가 재산..조사 체계 서둘러 마련해야
자동차의학은 교통사고가 났을 때 신체 부상이 발생한 이유를 분석하고 신체 손상을 어떻게 막을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분야다. 이 소장은 “모든 사고는 발생한 이유가 있는데, 특히 교통사고로 중증 손상이 발생했거나 사망한 경우 반드시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며 “그 원인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향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자동차의학의 목적이다”고 설명했다.
이 소장이 2019년 설립해 이끌고 있는 자동차의과학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자동차의학을 연구하는 유일한 곳이다. 이 소장은 실사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2011년부터 ‘한국형 자동차사고 심층조사(KIDAS)’체계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연구소는 현재까지 3200여 건의 차량 파손 데이터와 5000여 명의 교통사고 인체상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 소장은 “사고가 나면 실사고 조사팀이 현장 정보를 파악하고, 연구원들이 각종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사고를 재현해 차량과 탑승자 움직임을 분석한다”며 “이후 데이터베이스에 사고 정보를 입력한 후 원인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며, 연구 결과는 안전 시스템 개발과 정책 제안까지 이어진다”고 부연했다.
이 소장은 미래차 시대에 대비해 국가적인 실사고 조사 체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자율주행차와 관련해 실사고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소장은 “자동차의학계에서도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으로 차량이 바뀌며 사고양상이 변하는 것을 주목하고 있다”며 “최근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한 데이터도 수집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차선유지보조시스템을 사용하던 운전자가 떨어뜨린 물건을 줍는 새 차량이 충돌하는 사고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경우 정확하게 차량의 문제인지, 도로 같은 환경의 문제인지 파악하는 등 분석이 필요하다”며 “전기차 경우 내연기관차보다 무겁고 내부 배치가 달라지는 등 변화가 있어 향후 데이터 수집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소장은 “제조사가 아무리 완벽하게 만들어 내놓는다 해도 여러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사고는 발생한다”며 “국내 자동차 업계가 글로벌 ‘퍼스트 무버’로 도약하려면 일찍이 미래차와 관련한 실사고 데이터를 모아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가적인 조사체계 만들어야..전체 사고 중 샘플링 조사 필요
한국은 미래차 전환이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는 시장 중 한 곳으로 꼽히지만 아직 실제 사고 조사 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 소장은 “문제점을 찾고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선 원인조사가 잘 이뤄져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주로 경찰조사를 중심으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사, 차량조사, 사람에 대한 실제 사고 조사가 거의 없다”고 아쉬움을 내비쳤다.
미국과 독일 등 자동차 선진국 경우 일찍이 국가적으로 실사고 조사체계가 발달해 교통사고 심층분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정부와 자동차 제조사들이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에 가능했다. 미국 경우 국립고속도로 교통안전국이 중증교통사고의 샘플링 조사를 실시하는 사이렌(Crash Injury Research Engineering Network) 제도가 있다. 독일도 마찬가지로 지다스(Germanin Depth Accident Study)를 통해 교통사고 전문가와 의료기관을 통한 실사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이 소장은 분쟁이 일어난 사고를 주로 조사하는 현재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피해자와 가해자를 가려야 하는 사고를 주로 분석하고 있는 식인데, 미국과 독일처럼 전체 사고 중 랜덤으로 샘플링해 조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소장은 실사고 조사 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와 자동차 업계의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 “현재 차량 제조사들에 분석 상황을 컨설팅하고, 첨단 자동차를 위한 국가 과제에도 참여하며 안전한 자동차가 구현될 수 있도록 협조하고 있다”며 “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3위 기업에 오르는 등 국내 자동차 업계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어 안전에 대한 인식이 점점 더 높아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