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일촉즉발 무역전쟁, 中 국채 매각·항공기 카드 '만지작'

김인경 기자I 2018.03.16 16:11:07

중국, 최근한달 사이 미국 국채 100억달러 팔아치워
대두 비축량 늘리고 美 항공기 수입 줄이는 방법도
中 "무역전쟁 피하자"에서 "해보자"로 점점 바뀌고 있어

[베이징= 이데일리 김인경 특파원]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역시 반격의 카드를 만지작 대고 있다. 이미 최근 한달 새 미국 국채를 100억달러 팔아치운 데 이어 외교부 대변인과 언론들이 나서서 미국을 향해 ‘엄포’를 놓고 있다.

16일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재무부 집계를 인용해 지난 1월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전달 대비 100억 달러 줄어든 1조1700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에 미국 최대 채권국인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 규모는 지난해 7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물론 중국이 미국 국채 보유양을 줄인 건 중국 내 미국 국채 보유량이 과도하다는 평가가 나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트럼프 정부가 약달러를 표방하겠다고 밝힌데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불거지며 변동성이 커지자 중국 외 다른 국가들도 미국 국채 보유양을 줄이고 있다. 실제로 전체 외국인의 미국 국채 보유량도 지난 1월 6조2600억 달러로 집계되며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최근 중국과 미국의 무역전쟁설이 뜨거워지는 가운데서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이 감소한 만큼 그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외국산 세탁기와 태양광패널에 대해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달 중국을 포함한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폭탄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또 미국은 중국에 대미 무역 수지 흑자를 1000억달러 감축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미국은 중국의 지적재산권 침해와 기술 이전 강요 등에 대해 무역법 301조에 따라 최대 600억달러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중국이 미국의 무역공세에 맞서기 위해 미국 국채 매입을 줄일 것이라는 전망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RJ 갈로 페더레이티드인베스터스 선임 매니저는 “중국은 엄청난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며 “무역전쟁의 패는 미국만 쥐고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불과 몇달 전만해도 중국이 미국 국채를 매각하면 전세계 금리가 흔들리며 중국 역시 얻을 게 없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었다. 게다가 대규모 대미 무역 흑자를 취해온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최대한 피하고 현 상황을 유지하려는 태도로 일관해 왔다 .

하지만 최근 들어 중국에서도 무역전쟁을 각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 매체 환구시보와 글로벌타임스는 이날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무역 전쟁 움직임이 중국을 해칠 것이라는 것은 환상에 불과하다면서 오히려 미국 경제를 위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 역시 “미국이 중국의 이익을 훼손하면 중국은 합법적으로 권익을 보호하겠다”고 맞불을 놓은 바 있다. 과거보다 한층 세진 발언들이다.

대두나 목화 등 미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농산물에 개별 관세를 적용하는 카드 역시 중국이 내놓을 수 있는 패 중 하나다. 올해도 중국은 미국산 대두 1톤을 수입할 예정인데 이는 미국에서 생산되는 대두의 33% 수준이다. 중국은 미국산 대두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 하거나 전면 수입 중단 조치를 취할 경우에도 대응 가능할 만큼의 대두를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기 역시 중국이 꺼낼 수 잇는 카드다. 미국 보잉은 지난 20여년간 중국에서 1조달러의 매출을 올려왔다. 항공기는 미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가장 중요한 품목 중 하나다.

다만 미·중간 대립이 심화한다 해도 실제 무역전쟁은 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다. 미국 역시 대중국 공세를 하다가도 무역 전쟁에선 한풀 접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로버트 로스 보스턴대 교수는 중국이 매우 큰 시장일 뿐만 아니라 탄탄한 경제를 갖추고 있다며 무역전쟁이 벌어지면 미국이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오른쪽)이 지난해 11월 베이징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AFPBB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