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수소차 가격 6년내 반값으로…"620만대 공급해 세계 1위"

김형욱 기자I 2019.01.17 12:00:00

울산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공개
“국내 도로 10대 중 1대 수소차 될 것”
6년 후부턴 보조금 없이도 3000만원대

청와대가 지난해 도입한 현대자동차의 수소연료전지차 넥쏘. 청와대 제공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정부가 수소연료전지자동차(수소차) 분야에서 세계 1위에 올라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2040년까지 국내외 시장에 총 620만대를 보급(연평균 약 30만대)하겠다는 공격적인 목표를 세웠다.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다.

정부는 17일 국내 자동차 산업의 메카 울산에서 이 같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수소차는 차량 탱크 내 수소에 산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의 차다. 전기를 외부에서 직접 충전하느라 주행거리에 한계가 있는 전기차를 이을 차세대 친환경차로 꼽힌다.

그러나 대당 7000만원인 높은 생산비용 탓에 아직 상용화 단계엔 이르지 못했다. 국내 누적 보급대수는 2017년 177대, 지난해(2018년) 889대다. 해외 수출물량을 포함해도 2000대가 안 된다.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고 수소 충전소 등 인프라를 확충한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완성차는 통상 3만대 양산 체제가 갖춰지면 생산단가가 30% 내려가고 10만대가 되면 50% 수준이 된다. 6년 후면 현 수소차 가격은 7000만원(보조금 제외)이 일반 내연기관차 수준인 3500만원까지 내려갈 수 있다.

정부는 이처럼 수소차가 가격 경쟁력을 갖춰 ‘자립’할 때까지 보조금 지원을 통해 활성화를 꾀한다. 당장 올해 정부 보조금 지원을 통해 수소차를 4000대를 신규 보급하고 2022년까지 누적 보급량을 8만대(연 약 3만대 생산)까지 늘린다. 20년에 걸쳐 수소택시와 버스, 트럭도 총 15만대(각 8만·4만·3만대)도 보급한다.

정부가 17일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중 수소연료전지차 보급 계획.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계획대로라면 국내 수소차 연간 생산량은 6년 후 10만대, 10년 후 즈음 30만대를 넘어선다. 현재 약 400만대인 국내 완성차 생산량의 7.5%다. 그 이후부터는 수소차만 생산만을 위한 공장 1~2곳이 완전 가동한다는 것이다.

인프라도 대폭 늘린다. 현재 14개인 수소충전소도 2022년 310개, 2040년 1200개까지 늘리기로 했다. 20년 후 도로 위 차량 10% 이상(현재 기준 2300만대 중 290만대)을 수소차로 바꾸겠다는 통 큰 계획인 만큼 성공 여부는 수소 공급과 인프라 확충에 달렸다. 또 인프라를 확충하려면 충전소 등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수소차가 충분히 늘어야 한다. 정부가 연간 생산대수 대신 20년 후 620만대란 누적 보급대수를 강조한 것도 두 조건이 맞물려야 계획이 성공할 수 있다는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수출 목표(330만대)도 내수 보급계획 이상이다. 독일이 2030년까지180만대, 중국과 미국 캘리포니아 주가 각 100만대, 일본이 80만대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우는 등 시장 여건이 곧 성숙할 것이란 기대감을 반영했다.

국내 연간 완성차 생산량 400만대가 무너질 위기에 처한 자동차업계는 정부의 수소차 지원 정책에 반색하고 있다. 계획대로라면 현대·기아차를 비롯한 완성차 회사와 1~4차에 이르는 부품 협력사 전반에 시너지가 기대된다. 정부는 수소경제가 안착하면 2040년 기준 연 43조원의 부가가치, 42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연내 수소경제법을 제정하고 (이낙연)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수소경제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라며 “명실상부한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17일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중 수소충전소 확충 계획.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