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마루노우치 지구는 서울 도시 계획의 성공 사례로 벤치마킹할 방침이다. 용적률 규제 완화와 공개공지를 맞바꾸는 정책을 적용한 마루노우치 지구의 사례를 종로 세운 지구에 첫 적용하기로 했다. 이날 시부야 지구를 끝으로 도쿄 도심 개발 현장을 둘러본 오 시장은 이후 도쿄 도지사를 만나 양국 도시 교류에 포문을 8년 만에 열기도 했다.
|
오 시장은 27일 오전 일본 도쿄 시부야구 시부야 지구 일대를 살펴보고 “오히려 서울은 지양해야 할 디자인인 것 같다”며 “(고층 건물들 사이를 공중 보행로로 연결하는 식의 도시 디자인은)최소화해야 하겠단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시부야 지구는 많은 유동 인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도시 계획이 적용돼 있다. 같은 도쿄 내 마루노우치 지구가 보행 친화와 녹지 중심 설계였다면, 시부야 지구는 지하철 혼잡 등 과밀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날 현장 해설을 맡은 송준환 야마구치대 건축학과 교수는 “이곳은 녹지보다 (과밀 해소를 위한) 수직 공간을 내도록 해 용적률 완화 인센티브를 부여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
다만 도시 미간을 헤치고 저층부의 일조권을 침해한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었다. 오 시장 역시 “도시가 굉장히 복잡하고 어두워서 서울에선 어울리지 않는다”며 “어두워지는 것도 문제지만, (보행교) 아래로 상권이 죽어 꼭 필요한 부분에만 설치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이런 디자인은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배리어프리(barrier-free)’차원에서도 좋지 않다고도 덧붙였다. 배리어프리란 장애인이나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편하게 살아갈 수 있게 물리적인 장애물, 심리적인 벽 등을 제거하는 정책을 말한다.
|
시부야 지구를 끝으로 도쿄 도심 개발 현장 시찰을 마친 오 시장은 서울 도심 계획에 적극 활용해 ‘서울 대(大)개조’에 나선다. 핵심은 건물로 밀집한 저층부의 시민 개방성을 확대하고, 녹지율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마루노우치 지구는 민·관이 협력한 도시 재개발로 2000년대 초반 낙후된 지역 이미지를 벗어던졌다. 현재는 글로벌 경제력을 갖춘 지구로, 동시에 녹지와 시민 보행이 특화된 지역으로 변모했다. 핵심은 건물의 용적률을 사고팔 수 있는 ‘공중권(空中權)’이다. 일본 정부가 용적률 규제를 완화해 주는 대신 건물 저층부를 공개공지로 받은 뒤 보행 친화 공간 또는 녹지로 조성할 수 있게 했다.
오 시장은 세운 상가를 시작으로 서울 도심 곳곳을 시민의 공공성이 보장되고, 녹지가 풍부한 곳으로 변모시키겠단 계획이다. 쉽게 말해 용적률 규제를 완화해주는 대신 공개공지를 늘리겠단 구상이다. 더 나아가 이 같은 방침을 서울의 ‘가이드라인’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오 시장은 같은 날 고이케 유리코 도지사를 만나 양국 도시 교류를 활성화하자고 제안했다. 서울시장과 도쿄도지사 간의 공식 면담은 약 8년 만이다. 또 도쿄 도심을 살펴본 소회를 공유하며, 서울시의 정책 수립에 참고하는 등 정책 교류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