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교보생명은 보험계약자가 받을 보험금을 과소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보생명은 지난 2001년 6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연금전환특약을 부가한 종신보험 상품을 판매해, 2007년 10월 이후 연금 전환이 신청돼 생존연금을 지급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약관에 정한 최저보증이율 3.0%를 적용하지 않고 공시이율과 개인연금 사망률도 다른 기준을 적용해 계산했다. 이에 따라 2015년 12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지급사유가 도래한 연금전환계약에 대해서 보험금이 과소지급됐다.
또한 교보생명은 부당한 보험 갈아타기와 계약 부당 해지 사례도 적발됐다. 지난 2016년 1월부터 2020년 6월 기간 중 기존보험계약과 새로운 보험계약의 보험기간 및 예정이자율 등 중요한 사항을 비교해 알리지 않았으며, 보험계약자가 기존보험계약과 보장내용 등이 유사한 보험계약을 청약하게 함으로써 기존보험계약을 부당하게 소멸한 것이다.
또 교보생명은 변액보험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면담 또는 질문을 통해 보험계약자의 연령, 재산상황, 보험가입의 목적 등을 파악(이하 ‘적합성 진단’)하고 일반보험계약자의 서명, 기명날인 등의 방법으로 확인을 받아 보험계약 체결 이후 종료일부터 2년간 이를 유지·관리해야 하는데도 이를 지키지 않았다. 지난 2019년 9월부터 2020년 6월 기간 중 보험계약자와 변액보험계약을 체결하면서 적합성 진단을 누락 했으며, 보험계약자로부터 확인받은 ‘보험계약자 정보 확인서’를 유지·관리하지 않았다.
반면 임원들의 반면 임원의 격려금 지급에는 후했다. 보험사는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임원의 격려금은 보수위원회를 거쳐 지급방식과 금액을 심의·의결해야 한다. 하지만 교보생명은 이같은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자체적 결정으로 2017년부터 4년간 수십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외에도 교보생명은 전자청약 관련 내부통제 강화, 해외 자회사 위탁업무 관리 강화, 법인대리점 불건전 영업 관리 강화, 보험료 자유납입 기능 편의성 강화, 저축성보험 영업 내부통제 강화, 금융자산 처분 관련 리스크 관리 강화, IT부문 내부통제 강화 등 7건의 경영유의 사안과 11건의 개선사안에 대해서도 지적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