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지능정보기술이 기업의 신규매출이나 비용절감, 소비자 후생, 일자리 변화 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내년 2월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기 위한 ‘제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 최근 ‘제8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위원장 황교안 국무총리) 심의·의결(서면회의)을 통해 범정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지능정보기술이 보편화되면 노동시간 중 49.7%가 자동화로 대체돼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국가적으로 잘 대응하면 데이터 분석가 등 지능정보기술 분야 신규 일자리 약 80만개가 생길 것이란 전망이다.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는 부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범부처 조직이다. 여기서는 증기기관으로 촉발된 1차 산업혁명, 전기로 바꾼 2차 산업혁명, 컴퓨터가 바꾼 3차 산업혁명에 이어 지능정보기술이 바꾸게 될 4차 산업혁명에 대비 경제·사회·문화 전반의 대책을 마련한다.
지능정보기술이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빅데이터·모바일 같은 데이터 활용기술이 융합해 기계에 인간의 인지·학습·추론이 구현되는 걸 말한다. 전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여부에 절대적이며, 맥킨지 분석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2030년을 기준으로 약 460조원의 총경제효과(신규매출 85조원, 비용절감 200조원, 소비자후생 175조원)를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 산하에 총괄 및 부문별 전담조직(TF)을 만들어 내년 4월까지 ‘4차 산업혁명 대응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여기에는 핵심기술 개발, 시장기반 조성, 산업구조 혁신, 인재양성 및 고용구조 변화 대응 등 분야별 대응방안이 포함된다.
데이터 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4차 산업 혁명 핵심기술(인공지능·IoT·클라우드·빅데이터)을 확보하며, 산업간 융합을 저해하는 핵심규제를 개선하고 정부지원 체계를 신산업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시장기반을 조성한다.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시스템을 개선하고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인다.
지능정보기술이 기술·산업·사회 전반에 초래하는 변화에 포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현재의 ‘정보통신전략위원회’를 중앙정부·지자체·전문가·기업·학계 등이 참여하는 ’지능정보사회 전략위원회‘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범국가적 대응을 위해 입법부·행정부·사법부가 참여하는 포럼도 구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