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0일 발표한 ‘2025년 2/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EBSI는 84.1로 2분기 연속 100을 하회해 전 분기 대비 수출 경기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반도체(112.7)는 지난 1분기(64.4) 기저효과와 더불어 인공지능(AI) 투자 확대로 인한 고부가 반도체 수요 확대, 범용 반도체 가격 반등 기대로 수출 확대가 예상됐다. 선박(140.6)도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 확대로 전 분기에 이어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조사됐다.
항목별로는 미국의 관세 부과와 각국의 보복관세 가능성으로 10개 항목 중 △수입규제·통상마찰(45.4)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어 △수출대상국 경기(77.3) △수출상품 제조원가(79.4) 등 9개 항목이 100을 하회했다. 특히, 통상마찰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타겟관세 대상으로 지정했거나 언급한 반도체(4.2), 자동차·자동차부품(19.1), 철강·비철금속제품(35.4) 등의 품목에서 우려감이 크게 나타났다.
2분기 주요 수출 애로요인은 구리 등 비철금속 가격 상승으로 인한‘원재료 가격 상승(19.2%/복수응답)’을 비롯해 ‘환율 변동성 확대(14.2%/복수응답)’, ‘수출대상국의 경기부진(13.7%/복수응답)’, ‘수출 대상국의 수입규제(10.8%/복수응답)’ 등이 꼽혔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출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라면서 “급변하는 무역환경 속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통상 정책 변화를 주시하고, 기존 생산 네트워크를 점검하며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