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치료 '암 발생' 문제 해결방안 찾아

이승현 기자I 2015.05.06 15:28:04

김동욱 연세의대 교수, 신경세포 분화 뒤 암 발병 물질·분리방안 규명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줄기세포 치료법의 맹점인 암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찾았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줄기세포기반 신약개발연구단 단장)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배아줄기세포나 역분화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한 뒤 암을 발병하는 근본원인과 제거방법을 찾아냈다고 6일 밝혔다.

연세대 제공
연구 결과는 국제 줄기세포학회의 공식 저널인 ‘스템셀 리포트’(Stem Cell Reports)에 최근호에 실렸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
배아줄기세포나 iPS세포가 특정세포로 분화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경우 암 발병의 주범으로 여기지는 미분화 세포를 완전히 제거해도 중배엽성 종양 등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연구팀은 배아줄기세포나 iPS세포를 신경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면 신경세포와 함께 신경능선세포(neural crest cell)이 소량 만들어지는 것에 주목했다. 신경능선세포는 발생학적으로 머리와 얼굴의 연골, 뼈, 지방세포와 결합조직세포, 색소 세포, 말초신경계 세포 등을 만들 수 있다. 즉 신경능선세포는 색소 세포 등 원하지 않는 조직과 암(주로 중배엽성 종양)을 생성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 신경능선세포는 특이적으로 피에스에이엔켐(PSA-NCAM)이란 마커를 발현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어 PSA-NCAM 마커를 통해 신경세포와 신경능선세포를 완전히 분리해냈다.

실제 이 방법으로 분리한 신경능선세포(PSA-NCAM 음성세포)를 동물 뇌에 이식한 결과 중배엽성 종양에 해당하는 뼈와 연골, 지방 세포등을 만들었다. 색소세포와 말초신경계 세포 등 원하지 않는 조직도 생성했다.

그러나 신경세포(PSA-NCAM 양성세포)의 경우 암이나 이상 조직을 만들지 않았다.

김동욱 교수는 “PSA-NCAM으로 순수 분리된 순도 높은 신경세포는 뇌졸중 동물 모델과 척수손상 동물 모델에 이식 때 효능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게 입증됐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순수 신경세포를 인체에도 적용하기 위해 척수손상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