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배신자' 프레임 갇히고 '윤심'에 밀리고…유승민, 정치 재기 물거품

송주오 기자I 2022.04.22 15:07:12

대선 이어 경기지사 경선서도 `고배` 마셔
정치 재기 위한 도전…초선 김은혜에 무릎
2015년 朴과 결별 후 '배신자' 프레임 갇혀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6·1 지방선거 국민의힘 경기지사 경선에 나섰던 4선의 유승민 전 의원이 초선의 김은혜 의원에게 패했다. 민심에선 앞섰지만, 60대 이상 당원들 사이에서 팽배한 배신자 프레임이 끝내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대선 경선에서 탈락한 뒤의 도전이란 점에서 정치 재기의 발판 성격이 강했던 만큼, 정치권 안팎에선 정계 은퇴 수순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 경기지사 후보 경선에 나선 유승민 전 의원이 지난 19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사진=국회사진취재단)


◇‘윤심’에 막힌 유승민 정치 재기 승부수

정진석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은 22일 경기·인천 및 울산·경남의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를 확정해 발표하며 “책임 당원 선거인단 투표와 일반국민 대상 여론조사를 각각 진행했다. 유효 투표 결과 50%와 여론조사 결과 50%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현역 출마 페널티 5%에도 불구하고 52.67%를 얻어 44.56%에 그친 유 전 의원을 누르고 본선에 오르게 됐다.

경선 초반 환경은 유 전 의원에게 나쁘지 않았다. 중도층 비중이 높고 경제 이슈에 민감한 경기의 지역적 특성 때문이다. `경제 전문가` 이미지에 대선 주자란 정치적 중량감도 갖춰 무난히 국민의힘 후보로 낙점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입` 역할을 하던 김 의원이 대변인에서 물러나 경선에 뛰어들면서 분위기가 급변했다. `윤심` 마케팅으로 당심이 급격히 김 의원 쪽으로 쏠린 탓이다. 김 의원이 도전장을 내민 뒤 경쟁 후보였던 심재철 전 의원은 김 의원 지지를 선언하며 경선을 포기하는가 하면, 경기도 내 최다선 현역인 김학용 의원도 공천관리위원직을 버리고 김 의원 캠프에 합류하기도 했다.

실제 이날 경선 결과 유 전 의원은 일반 여론조사에서 김 의원에게 앞섰지만, 당원들이 김 의원에게 압도적인 표를 몰아준 것이 결정적인 패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잇단 경선 탈락에 정계 은퇴 갈림길

두 차례 연속 경선에서 탈락하며 타격을 입은 유 전 의원은 정치적 갈림길에 서게 됐다. 특히 이번 결과에 당의 주도권을 장악한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측 핵심 관계자)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오는 만큼, 사실상 재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유 전 의원은 지난 2000년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의 권유로 입당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으로 ‘경제 전문가’란 수식어가 따라붙었다. 정계 입문 이후 4선 의원에 원내대표를 지내는 등 승승장구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지난 2005년 비서실장을 지내며 인연을 맺었다.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박근혜 캠프의 정책 메시지 단장으로 활동해 경쟁자였던 이명박 후보의 공격수로 최선봉에 서기도 했다. 경선 패배 이후 국회 상임위 활동 외에 좀처럼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다. 하지만 2011년 7·4 전당대회에서 친박계 단일 후보 최고위원으로 입성해 ‘박근혜 지킴이’이자 ‘비수도권 대표 주자’로 화려하게 정치적 재기에 성공했다.

`원조 친박`인 유 전 의원은 2015년 새누리당 원내대표 시절 최대 위기를 맞았다. 국회법 개정안을 두고 박 전 대통령과 날을 세웠다. 박 전 대통령은 유 전 의원을 향해 “여당의 원내 사령탑도 정부 여당의 경제 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라며 직접적으로 불만을 드러냈다. 이후 원내대표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두 사람은 갈라섰다. 이후 보수층 사이에서 `배신자`란 평가가 꼬리표처럼 따라붙었다. 지난 2016년 새누리당을 탈당한 후 바른정당-바른미래당-새로운보수당을 거친 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에 다시 안착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대선에 이어 지방선거 경선까지 연이어 탈락하면서 내상이 심하다”며 “당분간 정치적 움직임을 보이긴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