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 `2.1GHz 주파수 확보戰 시작됐다`

정병묵 기자I 2011.03.21 15:39:54

2.1GHz 대역 상반기중 경매 전망..통신사 `논리 싸움`
SKT "가입자당 보유비율 가장 적다"
KT "지배사업자 SKT 배제해야"
LG U+ "우리만 해당 주파수 없다"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가입자당 주파수 보유비율은 우리가 제일 적다"(SK텔레콤)
"시장지배적 사업자, SK텔레콤은 배제해야"(KT). "우리만 없다. KT·SK텔레콤은 안돼"(LG유플러스)

2.1Ghz 대역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한 통신3사의 경쟁이 달아올랐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올 상반기중 현재 매물로 나와 있는 2.1GHz(기가헤르츠) 대역의 20MHz(메가헤르츠) 폭 주파수를 경매에 붙이겠다는 계획이어서 벌써부터 통신사들간 신경전이 한창이다.

통신사들 모두 이 대역을 반드시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 대역 주파수를 어느 회사가 가져가느냐에 따라 향후 통신서비스 시장의 큰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이 통신서비스의 주류가 된 시점에서 세계 단말기 사업자들이 앞다퉈 채택하고 있는 이 대역을 확보해야 더 다양한 단말기를 출시할 수 있다. 한편에선 통신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어 주파수 확보가 필수적이다.

통신 주파수가 재편되는 오는 7월 기준, 2.1GHz 대역 주파수는 SK텔레콤이 60MHz, KT가 40MHz씩 보유하고 있다. 가장 많은 주파수 대역을 보유한 SK텔레콤(017670)은 "가입자당 주파수 보유 비율로 따지면 가장 적다"며 꼭 가져가겠다는 입장이다.

KT(030200)는 "가장 절실한 것은 우리"라며 특히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SK텔레콤은 경매에 참여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일하게 2.1GHz 대역을 갖지 못한 LG유플러스(032640)는 SK텔레콤과 KT 두 회사 모두 경매에서 배제하고 자사가 가져야 한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아직 방식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경쟁적인 수요가 있을 때엔 경매제로 해야 한다"면서 "법적으로 언제까지 해야 하는지는 정해져 있지 않으나 업체들의 요구가 높아 서두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 통신3사 가입자 및 주파수 보유 현황



◇ `2.1GHz 주파수가 뭐길래`
 
주파수 확보에 통신사들이 열을 올리는 이유는 주파수가 가입자수와 원가, 투자비용 등 통신 사업과 관련된 모든 것에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10MHz 당 최대 이용자 500만명이 사용할 수 있으며, 20MHz를 할당받으면 최다 1000만명의 가입자가 넉넉히 쓸 수 있다. 한마디로 트래픽이 다닐 수 있는 도로를 더 넓히게 되는 셈인 것이다.

더구나 2.1GHz 대역은 현재 세계에서 3G 서비스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황금 대역`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주로 이 대역의 주파수에 맞춰 스마트폰을 제작하기 때문에 통신사들은 이 대역을 보유해야 신종 단말기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지난해 KT와 LG유플러스가 나눠 가진 800~900MHz 대역도 `황금주파수`로 불렸는데, 타 대역보다 전파가 멀리 나가기 때문에 기지국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800~900MHz에서 3G 서비스를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글로벌 범용성에서 2.1GHz가 앞선다. 2.1GHz가 처음부터 통신 전용으로 계획됐기 때문이다.

ITU(국제전기통신연합)는 지난 2000년 이동통신 전용 대역을 국가별로 마련하자는 취지에서 2.1GHz를 이동통신 공통대역으로 정하자고 권고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2.1GHz를 통신용으로 주로 사용했다.

다른 대역은 통신용이나 방송용으로 주파수 쓰임새가 섞여 있어, 특정 국가에 주파수가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A나라의 통신사가 810MHz대를 쓰고, B나라 통신사가 880MHz대를 쓴다면, A나라의 제조사는 B나라에 휴대폰을 팔기 위해 주파수를 맞추는 별도의 기술적 조치를 해야 한다.  

2.1GHz가 황금대역으로 떠오르게 된 데에는 아이폰을 이 대역으로 출시한 애플의 공로(?)가 지대했다. 전에도 2.1GHz 대역의 통신 단말기와 서비스는 존재했지만 아이폰처럼 강력한 파급력을 가진 단말기는 없었다. 아이폰 파워에 따라 스마트폰의 주파가 2.1GHz 중심으로 재편됐던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무제한 요금제의 등장으로 스마트폰 이용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통신사들은 아이폰 외에도 2.1GHz 대역을 사용하는 다양한 국내외 단말기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이 대역을 보유할 필요성이 커진 것.

이번에 매물로 나온 2.1GHz 대역의 20MHz 폭은 원래 LG유플러스가 보유하고 있었다. 방통위의 전신인 정보통신부는 지난 2001년 2.1GHz 대역을 40MHz씩 SK텔레콤과 KT에 할당했다. LG유플러스에도 40MHz를 줬지만 LG유플러스는 2006년 이를 반납했다.

당시 정부가 2000년 SK텔레콤과 KT에 나눠준 주파수는 WCDMA(비동기식) 용도였다. 이듬해 LG유플러스에 준 주파수는 CDMA 2000(동기식) 용이었다. 주파수 자체는 동기, 비동기식이 따로 용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당시 정부는 `WCDMA, CDMA 균형발전`을 내세우며 2개 사업자는 WCDMA로, 1개 사업자는 CDMA 2000으로 사용하게끔 배정했다.

이후 여러 단말기 또는 칩 제조 사업자들이 WCDMA를 채택하면서 주도적인 기술이 됐다. 이 때문에 LG유플러스는 주파수를 반납했고, 지난해 방통위가 3G 이상 주파수의 용도를 동기, 비동기식으로 구분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LG유플러스가 반납한 대역으로도 현재 `주류`인 WCDMA 서비스가 가능하게 됐다.
 
LG유플러스가 반납한 40MHz중 20MHz를 지난해 SK텔레콤이 가져갔고, 남은 20MHz를 두고 3사가 이번에 경쟁하게 된 것이다.
 
☞"2.1GHz, 우리에게 줘야"..통신사 논리싸움 치열


▶ 관련기사 ◀
☞SK텔레콤, 윈도우폰7 OS 개발자 지원 나섰다
☞SKT, 전직원이 합심해 일본돕기 나서
☞`갤럭시S2`, 내달 말 SKT·KT 동시 출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