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바이오 에탄올, 내연기관차 친환경으로 만든다"

손의연 기자I 2022.07.25 13:46:06

부산국제모터쇼 참가, 김학수 미국곡물協 한국사무소 대표
"바이오 에탄올, 휘발유 대체 친환경 연료 주목"
"의무화하면 탄소배출 저감·소비자 후생 제고 등 기대"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내연기관 자동차는 최소 10~20년 존속합니다. 바이오 에탄올을 도입하면 친환경 시대 내연기관차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죠. 소비자 후생에도 기여할 겁니다.”

김학수 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대표 (사진=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美·中 등 50개국 바이오 에탄올 도입

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는 지난 24일 막을 내린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 참가했다. 미국곡물협회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바이오 에탄올을 홍보하기 위해 지난해 서울모빌리티쇼에도 참여했다.

김학수 미국곡물협회 한국사무소 대표는 최근 이데일리와 만나 “전기자동차와 수소연료전지자동차로 향하는 방향성은 100% 맞지만 과도기 내연기관차에 친환경을 위한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며 “바이오 에탄올은 인프라와 차량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수송 부문의 탄소 감축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바이오 에탄올은 전 세계적으로 휘발유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 에탄올은 옥수수와 사탕수수, 카사바 등이 원료다. 현재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등 세계 50개국은 바이오 에탄올을 휘발유에 혼합해 사용하는 정책을 도입했거나 도입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신재생에너지 연료를 의무적으로 혼합하도록 하는 의무혼합제도(RFS)를 경유와 혼합할 수 있는 ‘바이오 디젤’에만 적용하고 있다.

김학수 대표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바이오 에탄올 도입 의무화 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 2019년 시카고대학교 스테판 뮬러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 사용 시 온실가스 절감 효과 분석 결과 우리나라가 기존 휘발유에 10% 에탄올을 혼합하는 E10 연료를 사용 시 온실가스를 150만톤(t) 감축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0% 혼합하는 E20의 경우에는 270만t까지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지만 산업계의 반발이 있어 과도기가 길어질 가능성도 또 다른 이유다. 그는 “정부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이야기했고 전기차 비중도 97%로 설정했다. 하지만 여러 사정으로 목표를 수정해야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며 “이때 대체 연료의 역할이 생길 수 있다. 수소 연료는 아직 개발 단계로 현실적으로 바이오 에탄올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노후 경유차처럼 향후 휘발유차도 서울 도심 주행 제한 같은 규칙을 적용받을 수 있다. 67% 비중에 해당하는 내연기관차 소비자를 고려하는 정책도 필요하다”며 “바이오 에탄올을 도입하면 탄소중립에 대한 소비자 공감대도 모을 수 있고 가치 소비를 늘리는 효과도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오 에탄올 의무화해도 곡물가격 안올라”

다만 일각에서는 바이오 에탄올 도입을 의무화하면 곡물가격 상승이나 식량난 유발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그는 “국가에 따라 다르지만 자원이 부족한 나라는 수입으로 충족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라며 “실제로 바이오 에탄올을 의무화한 나라에서 곡물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국제 곡물시장은 수급과 균형을 이루며 독점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특정 나라에 의존하게 될 순 없다”고 일축했다.

또 “바이오 에탄올을 휘발유에 섞기 때문에 유가도 하락하는 효과가 있어 해외에서는 바이오 에탄올을 사용해 유가를 낮추기도 한다”며 “결국 에너지원을 다원화해 에너지 안보에서 하나의 카드를 더 손에 쥘 수 있는 효과도 있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도 바이오 에탄올 도입 의무화를 위한 준비는 마친 상태다. 그는 “우리나라는 지난 20년간 에탄올에 대한 실증사업을 마쳤고 안전성 등 필요한 테스트도 한 상태”라며 “전 세계가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탄소중립에 맞추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도 기후변화 대응 모범국가의 길을 가기 위해 바이오 에탄올 혼합 정책 의무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