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이 같은 시사점을 담은 ‘정보통신기술(ICT) 브리프’ 13호 보고서를 공개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오는 2030년까지 총 3200억원을 투입해 6세대(6G) 통신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고, 핵심 기술의 자립화를 추진 중이다.
다만 IITP는 단기적으로는 독자 노선보다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과 틈새시장 공략이 더 현실적인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국내 통신사들은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기보다는, 이를 활용한 개방형 협력을 통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IITP는 이번 보고서에서 “위성 기술 개발과 함께 글로벌 협력 기반의 시장 진입 전략, 6G 통신과 연계한 위성표준 주도 등 다층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지상-위성 네트워크 융합으로 끊김 없는 연결성이라는 차별화 가치를 확보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저궤도 위성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시장은 스타링크가 선두를 지키는 가운데, 아마존도 이달 첫 상용 위성 발사를 앞두고 본격적인 추격 채비를 하고 있다.
아마존은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라는 이름으로 총 3236기의 위성을 쏘아 올리는 초대형 위성 인터넷망을 준비 중이며, 이 중 첫 상용 위성 27기를 이달 안에 발사할 계획이다. 미국 규제당국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저궤도 위성 사업자를 대상으로 내년 7월까지 전체 위성의 절반 이상을 발사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여 놓은 상태다.
|
이미 6000기 이상을 띄운 스타링크나, 600기 넘게 배치한 영국 원웹에 비하면 아마존은 뒤늦게 시장에 진입하는 셈이다. IITP 측은 “(아마존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스타링크와의 경쟁에서 뒤처진 상황”이라며 “상용 위성 발사 이후에도 FCC 요구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도전적 과제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저궤도 위성 인터넷은 디지털 인프라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힌다. 지연시간이 짧고(20~40㎳), 전 세계 어디서나 연결이 가능하며, 위성을 빠르게 배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기존 지상망이 닿지 않는 곳을 연결할 수 있어 보완하는 역할로 주목 받고 있다.
IITP 측은 보고서에서 기술적인 한계점도 분명히 있다고 짚었다. 이용자가 몰린 지역에서는 통신 체감 속도가 떨어지고, 건물이나 산에 가로막히면 접속이 끊기기 쉽다는 것이다. 또 IITP는 저궤도 위성은 수명이 짧아 몇 년마다 새로 쏘아 올려야 해 유지비용도 부담이 크다고 언급했다.
저궤도 위성 인터넷 사업은 기술 외에도 까다로운 규제 환경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IITP에 따르면 미 FCC의 발사 일정·운영 조건뿐 아니라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단계별 이행 규정 역시 사업 전개에 영향을 미친다. 인도나 파키스탄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인허가 지연이나 법적 충돌로 인해 서비스 출시가 지연된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