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라임사태에 대한 검찰의 수사는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라임사태에 청와대 윗선의 개입 여부와 이 과정에서 금융당국의 부실 감독이 없었는지에 대해 수사력이 집중될 전망이다. 또한 라임과 펀드 판매사가 펀드의 부실을 알면서도 이를 고객들에게 알리지 않고 판매했는지도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지난 23일 오후 9시쯤 서울 성북구의 한 빌라 인근에서 외출 후 귀가하던 김 전 회장을 붙잡았으며, 두 시간 뒤인 오후 11시쯤 또 다른 핵심 인물로 수배 중인 이 전 부사장을 인근에서 검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들은 라임 사태를 유발한 ‘몸통’으로 지목된 인물들이다. 이 전 부사장은 라임 펀드를 설계하고 운용을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다. 그는 라임이 투자한 코스닥 상장사인 리드(197210)에서 일어난 800억원 규모 횡령 사건에 가담한 혐의로 지난해 11월 구속영장이 청구되자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앞두고 잠적했다.
또 라임의 배후 전주(錢主)로 알려진 김 전 회장은 경기도의 한 버스회사인 수원여객에서 161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전 회장은 지난해 12월 자신에 대한 구속영장이 청구된 이후 돌연 잠적했다. 그는 이 회사 자금 횡령 혐의 외에도 스타모빌리티 회삿돈 517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현 스타모빌리티 대표이사에게 고소를 당했다. 김 전 회장은 현재 구속된 김모 전 청와대 행정관에게 직무상 정보와 편의를 받은 대가로 뇌물을 준 혐의 등도 받고 있다.
경찰은 우선 김 전 회장을 경기남부지방경찰청으로 이송해 수원여객 횡령 사건을 수사한 뒤 김 전 회장의 신병을 검찰에 넘길 방침이다. 그러나 이와 무관한 이 전 부사장은 서울남부지검으로 바로 인계된 것으로 알려졌다.
|
이에 따라 지금까지 진척되지 못했던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주목되는 대목은 라임 사태와 청와대 인사 등 고위직과의 연결 여부다.
앞서 청와대 행정관으로 근무했던 김씨는 김봉현 회장에게 4900만원 상당의 뇌물을 받고 금감원의 라임 검사 관련 내부 정보를 누설한 혐의로 구속됐다. 지난해 2월부터 약 1년간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으로 파견돼 라임 사태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히 한 녹취록에서 ‘라임 사태 확산을 막아주고 있는 사람’이라는 취지로 언급된 인물이기도 하다.
검찰은 이 전 부사장과 김 회장을 상대로 라임 사태와 관련된 일이 김 전 행정관 개인의 일탈이었는지 아니면 더 윗선의 개입이 있었는지 정황을 확인하기 위한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청와대 등 윗선의 개입으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이 감독을 부실하게 하지는 않았는지에 대해서도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지난 23일 오전 금융위를 찾아 자산운용사 및 증권사, 은행을 담당하는 부서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금감원을 포함해 신한금융투자 및 대신증권, 우리은행 등 펀드 판매사에 대한 압수수색도 이미 진행한 상태다.
여기에 고객들에게 펀드를 판매하면서 라임과 펀드 판매사가 펀드의 부실을 알고도 상품을 계속 팔았는지 여부도 이번 수사의 핵심 쟁점이다. 만약 부실 문제를 알고도 투자자에게 알리지 않은 채 운용하고 판매했다면 사기에 해당한다. 펀드 운용에 따른 단순 실수가 아닌 고의적 의도가 반영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종필 전 부사장은 라임 펀드를 운용한 핵심 인물이기 때문에 검찰 조사과정에서 그의 진술이 수사의 방향에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